신종인플루엔자가 유행이던 2009년 예비군들이 입소에 앞서 발열 검사 등을 받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국방부가 코로나19의 ‘4차 유행’이 시작된 것을 고려해 올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예비군 훈련을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 대상자들은 모두 훈련을 이수한 것으로 처리된다.
국방부는 14일 “올해 예비군 소집훈련을 미실시하고, 소집훈련 대상자 전원의 훈련을 이수처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신, 소집훈련 대상자인 1~6년차 예비군 180만명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자율 참여 방식의 두 시간짜리 원격교육을 10월부터 실시한다. 이 교육을 받은 이들은 2022년도 예비군 훈련시간에서 두 시간을 차감 받게 된다.
국방부는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로 “코로나19 상황과 밀집 대면 접촉 등 예비군 훈련의 특성 등이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100~500명이 모인 상태로 이뤄지는 예비군 훈련의 특성상 현재의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아래서는 실시가 불가능하고 결론을 내린 것이다. 하지만, 동원사단 등 비상시 예비군 위주로 편성되는 부대의 주요 직위자 3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비상근복무자 소집훈련은 하반기에 ‘탄력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지난해에도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1968년 예비군 제도가 도입 뒤 처음으로 소집훈련을 취소한 바 있다. 예비군 훈련이 2년 연속으로 전면 취소되는 것은 전례 없는 일이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