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4월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손을 맞잡은 채 군사분계선을 넘나드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퇴임을 앞둔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보낸 친서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1일 답서를 보냈다고 청와대와 <조선중앙통신>(중통)이 22일 밝혔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친서 교환 사실 공개 발표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친서를 주고 받은 2020년 9월 이후 19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이번 친서 교환을 통해 2018년 세 차례 정상회담의 결과물인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 9·19 군사분야합의서를 남북관계 개선의 ‘기준점’으로 거듭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김 국무위원장과 손잡고 한반도 운명을 바꿀 확실한 한 걸음을 내디뎠다고 생각한다. 판문점선언과 평양공동선언, 9·19 군사분야합의가 통일의 밑거름이 돼야 한다”고, 김 위원장은 “희망했던 곳까지 이르지 못했지만 남북관계의 이정표로 된 역사적인 선언들과 합의들을 내놓았고 이는 지울 수 없는 성과”라고 밝혔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한테 “대화로 대결의 시대를 넘어야 한다”며 “대화의 진전은 다음 정부의 몫이 됐으며 김 위원장이 한반도 평화라는 대의를 간직하며 남북 협력에 임해줄 것을 부탁했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김 위원장도 문 대통령과 “진함(다함)없는 노력을 기울여나간다면 북남관계가 개선되고 발전하게 될 것이라는 데 견해를 같이 했다”고 <중통>이 전했다.
이번 친서 교환은 최근 북한의 잇단 미사일 시험발사 등으로 긴장된 한반도 정세와 정권 교체기의 남북관계에 ‘가뭄의 단비’로 여겨질 만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엄중한 상황 속에서도 (김 위원장의 답서에) 긍정적, 희망적 표현이 담긴 것은 다행스럽다”고 했고, <중통>도 “북남 수뇌분(정상)들의 친서 교환은 깊은 신뢰심의 표시로 된다”고 평가했다.
특히 김 위원장이 “서로 노력을 기울여나간다면 북남관계가 개선되고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원론적 언급일 수 있지만, 5월10일 출범을 앞둔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에 따라선 긴장 속 장기 교착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는 남북관계에 반전의 디딤돌이 될 수 있어서다. 이에 비춰 윤석열 정부의 2018년 남북정상합의 승계·이행 의지 여부와 그 강도가 앞으로 남북관계의 풍향계가 될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문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북남공동선언들이 통일의 밑거름이 되도록 마음을 함께할 의사를 피력했다”는 <중통> 보도,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을 잊지 않고 퇴임 뒤에도 변함없이 존경할 것”이라고 했다는 박 대변인의 전언도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남북관계에서 ‘퇴임 대통령 문재인’의 역할 공간이 있을 수 있다는 시사이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취임 뒤 ‘전직 대통령 문재인’을 대북특사로 삼아 남북관계의 활로를 모색하려 한다면 이를 김 위원장이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퇴임 뒤) 당분간은 보통 국민의 한 사람으로 지내실 것”이라면서도 “보통 국민의 한 사람일 뿐만 아니라 전직 대통령으로서 어떤 역할이 있다면 하실 수 있지 않을까”라고 여지를 뒀다.
다만 북쪽이 남북 정상의 친서 교환 사실을 대외용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으로만 보도하고, ‘인민 필독 매체’인 노동당 중앙위 기관지 <노동신문>엔 싣지 않은 사실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남쪽에서 새로 출범할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에 따라선 얼마든지 대남 강경 정책으로 돌아설 수 있는 것이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