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오버도퍼 존스홉킨스대학 한미연구소 소장
오버도퍼 한미연구소장 인터뷰
“60일 시한이 중요한 게 아니다. 북한도 방코델타아시아(BDA) 자금 송금 이후에 2·13 합의 이행 의지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4월13일 시한을 며칠 넘기는 것은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미국의 한반도문제 전문가인 돈 오버도퍼(76) 존스홉킨스대학 한미연구소 소장은 10일 <한겨레>와 회견에서 “현재 비디에이의 북한자금 송금 문제로 2·13 합의 초기조처 이행이 늦어지고 있지만, 합의 이행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의 한·중·일 순방 이후 2·13 합의 이행 시간표가 좀더 분명하게 드러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빅터 차 국가안보회의 아시아국장이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주지사의 평양방문단에 포함된 것은 “부시 행정부가 리처드슨 주지사의 방북에 권위를 부여해 준 것이지만, 누군가는 가야 했다는 점에서 놀라운 일은 아니다”라며 “부시 행정부의 정책과 2·13 합의 이행의지를 전달하는 이상의 메시지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방코델타아시아 문제가 시간을 끌고 있다.
=기술적인 금융 문제일 뿐이다. 원칙의 문제는 아니다. 며칠 안에 해결될 것이다. 60일 시한이 중요하긴 하지만, 며칠 연장될 수 있다고 본다.
-북-미 관계 정상화를 위해 고위급의 평양 방문과 같은 ‘지름길’이 필요하다고 보는가?
=당장은 아니지만, 결국은 누군가 평양에 가서 김정일 위원장과 같은 최고위급의 승인을 받을 필요는 있을 수 있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도 지난달 초 뉴욕 만남에서 누구를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이 얘기를 여러 차례 했다. 그래서 힐 차관보에게 물었더니 북한이 그런 지름길에 관심이 있다면 6자 회담을 지체시키지 말아야 했다고 일축했다.
-부시 행정부의 남은 20개월 동안 북한의 비핵화가 가능하다고 보는가?
=해체단계까지 가능할지에 대해선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나머지 5자는 가능한 갈 수 있는 데까지 가길 희망하고 있다. 6개월 전에는 영변 원자로의 가동중지가 가능하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없었다. -일본인 납치문제가 6자 회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겠나? =일본의 태도를 우려하고 있다. 일본은 좀더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7월 참의원 선거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을 것이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hoonie@hani.co.kr
=해체단계까지 가능할지에 대해선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나머지 5자는 가능한 갈 수 있는 데까지 가길 희망하고 있다. 6개월 전에는 영변 원자로의 가동중지가 가능하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없었다. -일본인 납치문제가 6자 회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겠나? =일본의 태도를 우려하고 있다. 일본은 좀더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7월 참의원 선거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을 것이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hooni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