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자문 구할듯…청와대 “직접대면 여부는 아직 미정”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남북 정상회담을 위해 28일 평양을 방문할 노무현 대통령이 10일 정치·경제·사회 분야 지도급 인사와 전문가로 ‘자문단’을 구성하고, 1차 남북 정상회담 주역인 김대중 전 대통령의 조언을 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1차 정상회담 경험을 가졌던 분들과 전문가, 사회지도층 인사들의 의견을 듣는 방법을 다양한 수준에서 검토하고 있다. 대통령 비서실장과 안보실장, 정책실장, 수석급 인사들이 각계각층의 지도급 인사들을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특히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자문을 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며 “남북 정상회담에 직접 경험이 가장 많은 김대중 전 대통령으로부터는 어떤 형태로든 의견을 듣겠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이런 태도는 평양에 가기 전에, 2000년 6·15 남북 정상회담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회담한 경험이 있는 김 전 대통령의 ‘노하우’를 전수받아야 한다는 ‘정상회담 준비 태스크포스팀’의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대통령은 지난 2000년 남북 정상회담 때 53시간 동안 평양에 머물면서 김정일 위원장과 무려 10시간 동안 직접 얼굴을 맞대고 남북한 현안을 논의한 바 있다.
청와대는 노 대통령이 김 전 대통령을 직접 만날 것인지, 문재인 비서실장 등 핵심 참모를 통해 경험을 전수받을 것인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천호선 대변인은 “대통령이 직접 만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지만, (정상회담 준비) 일정이 짧고 여러 문제들이 있어 아직 성사 여부를 결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지난 8일 남북 정상회담 개최 발표에 앞서 윤병세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통해 “2차 남북 정상회담은 김 전 대통령께서 밑거름과 토대를 만들어준 덕분”이라는 뜻을 전했고 김 전 대통령도 “노 대통령이 모든 일을 성공적으로 이루길 바란다”고 적극 환영하고 있어, 어떤 형태로든 김 전 대통령의 경험이 전수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교동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2차 정상회담을 국정원이라는 정부 공식채널을 통해 합의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2000년 6·15 정상회담과 차별성을 부각하고, 1차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 이뤄진 대북 송금에 관련된 인사들에 대한 복권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 등에 불만을 표시하는 기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