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만의 서해교전] 시간대별 상황
‘응징보복 개념’ 반영된 새 교전규칙 적용
북한 경비정, 검은 연기 내뿜으며 물러나
‘응징보복 개념’ 반영된 새 교전규칙 적용
북한 경비정, 검은 연기 내뿜으며 물러나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우발적 군사 충돌의 위험성을 극적으로 드러낸, 10일 오전 남북 해군의 서해 대청도 근처 해상 교전은 단 2분 만에 마무리됐다.
이기식 합동참모본부 정보작전처장이 이날 브리핑에서 밝힌 내용을 토대로 이번 교전을 재구성해 보면, 이날 오전 10시33분께 서해 백령도 군 레이더가 북방한계선에 접근하는 북한군 해군 6전대 소속 경비정 한 척을 포착했다. 이에 해군 2함대 사령부는 대북 경계 강화를 지시하고, 고속정(148t) 2개 편대(4척)를 현장에 출동시켰다. 10㎞ 남쪽 해상에는 해군 초계함(1000t) 2척이 배치돼 있었다.
2함대사령부는 오전 11시22~25분 두 차례 “귀측은 우리 해역에 과도하게 접근했다. 즉시 북상하라”고 북쪽 함정에 경고 통신을 했다. 하지만 북한 경비정은 11시27분 대청도 동쪽 11.3㎞에서 북방한계선을 넘었다.
2함대사령부는 11시28~31분 다시 두 차례 “귀선은 우리 경고에도 침범 행위를 계속해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방향을 북쪽으로 틀지 않을 시 사격하겠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귀선에 있음을 경고한다”고 통신으로 알렸다.
북한 경비정이 북상하지 않자 남쪽 고속정은 오전 11시32분 ‘경고사격 하겠다’고 한 차례 추가 경고했다. 북한 경비정이 북방한계선 남쪽 2.2㎞까지 내려오자 남쪽 고속정은 11시36분 북한 경비정의 진행 방향 앞쪽 해상에 40㎜ 함포 네발로 경고사격을 했다. 북한 경비정은 11시37분 남쪽 고속정을 향해 약 50여발을 사격해 왔고, 남쪽 고속정도 즉시 40㎜ 함포 등 200여발로 응사했다.
교전이 벌어지는 동안 백령도 등에 배치된 남쪽 대공포와 해안포 진지에는 긴급전투배치가 이뤄졌고, 공군 전투기 등이 긴급 출격대기 상태에 들어갔다. 오전 11시40분 북한 경비정은 검은 연기를 내며 북방한계선을 넘어 북상했다. 7년 만에 다시 벌어진 남북 해군의 ‘3차 서해 교전’은 이렇게 2분 만에 끝났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이날 오후 교전이 끝난 뒤 열린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북한의 보복 가능성이 있다”며 “이명박 대통령도 북한의 보복 걱정을 했다”고 말했다. 군은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하기 위해 감시와 경계를 강화하고 있으나, 눈에 띄는 북한군의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1999년과 2002년 각각 벌어진 1, 2차 ‘연평해전’ 때와 견줘 이번에는 ‘응징보복 개념’이 반영된 새로운 해군의 교전규칙이 적용됐다. 지난 5월 말 이상희 당시 국방부 장관은 “북한이 먼저 우리 함정 또는 초소나 민간 선박 등에 대해 타격해 오면 현장 지휘관의 판단에 따라 즉각 대응하라”며 “반드시 이겨 현장에서 상황을 종결하라”고 지시했다. 군 당국은 이번 교전에서 남쪽이 아무 피해 없이 북한 경비정을 물리친 것은 개정된 교전규칙의 결과라고 자평한다. 하지만 중국 어선 단속 과정에서 벌어지는 북한 경비정의 북방한계선 단순 월선을 성급하게 강경 대응할 경우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이기식 합동참모본부 정보작전처장(가운데)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실에서 서해 대청도 근처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벌어진 북한 경비정과 해군 함정과의 교전 상황을 설명한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왼쪽은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교전이 벌어지는 동안 백령도 등에 배치된 남쪽 대공포와 해안포 진지에는 긴급전투배치가 이뤄졌고, 공군 전투기 등이 긴급 출격대기 상태에 들어갔다. 오전 11시40분 북한 경비정은 검은 연기를 내며 북방한계선을 넘어 북상했다. 7년 만에 다시 벌어진 남북 해군의 ‘3차 서해 교전’은 이렇게 2분 만에 끝났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이날 오후 교전이 끝난 뒤 열린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북한의 보복 가능성이 있다”며 “이명박 대통령도 북한의 보복 걱정을 했다”고 말했다. 군은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하기 위해 감시와 경계를 강화하고 있으나, 눈에 띄는 북한군의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1999년과 2002년 각각 벌어진 1, 2차 ‘연평해전’ 때와 견줘 이번에는 ‘응징보복 개념’이 반영된 새로운 해군의 교전규칙이 적용됐다. 지난 5월 말 이상희 당시 국방부 장관은 “북한이 먼저 우리 함정 또는 초소나 민간 선박 등에 대해 타격해 오면 현장 지휘관의 판단에 따라 즉각 대응하라”며 “반드시 이겨 현장에서 상황을 종결하라”고 지시했다. 군 당국은 이번 교전에서 남쪽이 아무 피해 없이 북한 경비정을 물리친 것은 개정된 교전규칙의 결과라고 자평한다. 하지만 중국 어선 단속 과정에서 벌어지는 북한 경비정의 북방한계선 단순 월선을 성급하게 강경 대응할 경우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