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뉴욕회동 등 연쇄접촉…북-미 양자협의 포함 가능성
한국과 미국은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각)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6자 회담 재개와 진전을 위한 ‘공동의 포괄적 접근방안’의 구체화를 위한 실무협의를 이르면 다음주부터 열기로 했다. 6자 회담 관계국 사이의 이런 협의에는 북-미 양자 협의가 포함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송민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은 이날 정상회담 직후 브리핑을 통해 “두 정상이 그동안 한·미 양국 고위 실무선에서 6자 회담 재개와 9·19 성명 이행을 위해 협의한 공동의 포괄적 접근방안에 대해 보고받고, 관련국과 협의를 구체화해 나갈 것에 합의했다”며, 이렇게 실무협의 일정을 밝혔다. 한국과 미국의 실무협의는 다음주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정부 당국자가 전했다.
서주석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수석은 15일 <한국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공동의 포괄적 접근방안에 북-미 양자대화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핵심 관계국간 접촉이 이뤄져 일정한 타결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우리의 입장”이라고 말해, 6자 회담 재개 전 북-미 접촉이 가능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그는 실무협의가 한-미, 그리고 한-미-일 3자 협의를 거쳐 관련국들 차례로 추진될 것이라며, “포괄적 접근방안의 논의 및 이행과정에서 이런저런 다양한 형식의 대화와 협의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 실장은 포괄적 접근방안의 내용에 대해, “북한을 6자 회담으로 복귀시키는 방안과 6자 회담이 재개됐을 경우 9·19 공동성명의 이행을 진전시키는 두 가지 목표를 함께 담고 있다”며 “누구 한 사람의 머리에서 해결할 게 아니고, 관련국들이 방안을 정교하게 조합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회담 재개를 위해 각국이 취해야 하고 또 취할 수 있는 조처들을 어떻게 조합할지를 놓고 6자 회담 대표간 세부 협의가 벌어질 것”이라며 “이를 통해 이런 (포괄적 접근) 방안을 완성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방안이) 확대돼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 실장은 “지난 7월 초 방미 때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북핵 문제를 포괄적으로 풀어나가는 데 합의한 뒤 한-미 외교채널을 통해 구체적으로 협의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지난달 하순 중국을 방문해 리자오싱 중국 외교부장과도 이 방안을 협의하는 등 관련국들과 직·간접 협의를 계속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노 대통령은 정상회담 뒤 숙소인 백악관 블레어하우스에서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 존 햄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소장 등 미국의 여론 주도층 인사 12명과 만나, “한-미 관계가 후퇴하지 않고 더욱 긴밀하고 발전적, 미래지향적으로 나가고 있다는 데 부시 대통령과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샌프란시스코를 거쳐 16일 오후 서울에 도착할 예정이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신승근 기자 hooni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