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에서 통과되면 내년 2-3월께
정부가 내전 위기의 레바논에 유엔평화유지군(PKO)으로 특전사 병력을 파병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주 안에 레바논 파병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린 뒤, 당정 협의를 거쳐 다음달 초 파병 동의안을 국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파병 규모는 400여명 수준이고, 이 가운데 270여명은 특전사 중심의 전투병력, 130여명은 의무·수송·행정 등 지원병력으로 구성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정부 당국자는 23일 “현재 파병이 최종 결정된 것도 아니고, 병력의 규모와 성격도 확정되지는 않았다”며 “하지만 레바논 상황이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역할을 하려면 가장 훈련이 잘되고 전투능력이 있는 특전사를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라크에 보낸 자이툰 부대는 재건지원부대지만 레바논에선 레바논군의 헤즈볼라 무장해제 작업을 지원해야 해 성격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레바논 현지 상황은 심각한 혼란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21일 피에르 제마옐 레바논 산업장관이 암살된 뒤 레바논인들은 내전 재발을 우려하는 상황이라고 <비비시>(BBC) 등이 전했다. 지난여름 이스라엘의 침공 뒤 레바논 정치권은 친시리이와 반시리아 진영으로 나뉘어 심각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어난 이번 암살 사건은, 배후를 놓고 종파·파벌간 갈등을 한껏 고조시키고 있다. 여기에 반시리아 진영을 지원하는 미국, 이스라엘, 유럽 등과 친시리아 진영을 지원하는 시리아, 이란 등이 막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또 평화유지군의 지원 대상인 레바논 정부 자체가 붕괴 위기에 놓여 있는데다 주둔지인 남부지역에선 “평화유지군이 이스라엘을 보호하고 헤즈볼라를 몰아내려 왔다”는 비난이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다고 영국의 일간 <인디펜던트>는 최근 전했다.
정부 당국자도 “레바논 상황이 우려스러운 혼란으로 빠지고 있다”며 “다만, 올해 안에 당장 파병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내년에는 많이 달라질 수 있으며, 헤즈볼라가 실제로 평화유지군을 직접 공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절차를 고려할 때 이르면 내년 2~3월께 레바논에 군대를 보낼 것으로 보고 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