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백상 총영사 외교위서 밝혀
“정보기관서 얻어 번역 공증
중 공안당국서 받은 것 아냐”
간첩사건 증거 위조 의혹 커져
오후 회의선 진술 바꿔
“정보기관서 얻어 번역 공증
중 공안당국서 받은 것 아냐”
간첩사건 증거 위조 의혹 커져
오후 회의선 진술 바꿔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의 피고인 유우성씨의 북한 출입경기록이라며 검찰이 법원에 제출한 3건의 문서 가운데 2건은 선양 주재 총영사관에서 중국 공안 당국으로부터 직접 건네받은 문서가 아니라는 증언이 나왔다. 또 이 문서 2건은 국가정보원 직원으로 알려진 이아무개 교민보호 담당 영사가 출처를 알 수 없는 곳에서 입수한 개인문서로 드러났다.
조백상 중국 선양 주재 총영사는 21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문제의 문건을 발급한 것으로 돼 있는) 허룽시 공무원과 접촉하거나 전화 통화를 해서 문서를 입수했느냐’는 홍익표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그렇지 않다”며 “관련 유관 정보기관이 획득한 문서에 대해 그 내용이 중국어로 되어 있어 담당 영사(이아무개 영사)가 내용 요지를 번역하고, 사실이 틀림없다는 것을 확인한 개인문서”라고 답했다.
조 총영사는 이어 “실제 그 문서를 떼어 온 것은 이아무개 영사냐”는 우상호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그렇다”면서도 “이 영사가 중국 당국이 발급한 문서 자체를 부탁해서 (넘겨주도록) 한 것은 아니고, (중국의) 관련 당국이 마련한 서류를 한글로 내용 확인을 한 것”이라고 답했다. 또 그는 이 영사한테서 이런 사실을 “사후에 보고받았다”고 했다.
문제가 된 문건 2개는 간첩 혐의로 재판중인 유씨의 북한-중국 출입경기록과 변호인이 제출한 정황설명서에 대한 답변확인서인데, 조 총영사의 이날 답변으로 위조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 최초의 출처를 밝히기 위해 이아무개 영사를 조사해야 할 필요성도 더 커졌다.
이아무개 영사는 국정원 소속으로 외교부에 파견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 총영사는 “이 영사가 국정원 직원이냐. 이 영사가 (국정원) 대공수사팀 팀원이냐”는 정청래 민주당 의원의 거듭된 추궁에 “제가 말씀드리기 곤란하다”며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조 총영사는 문건 위조 사실도 의혹이 제기된 뒤에야 알았고, 유씨의 출입경기록 발급에 대한 ‘발급확인서’는 검찰의 요청을 받고 총영사관이 중국 공안 당국으로부터 발급받았다고 밝혔다. 문건의 위조 여부와 관련해 외교부의 책임은 없다는 입장을 비친 셈이다. 그는 “담당 (이아무개) 영사가 확실하다고 얘기했고, 내용의 진위에 대해 총영사관은 확인할 위치가 아니다”라며 “2건의 문서가 공관을 통해 (검찰로) 간 것은 이후에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에 민주당 의원들은 국정원의 문건 위조 가능성을 집중 추궁했다. 우상호 의원은 “결국 중국 당국이 문서를 생산하지 않았거나 이 영사가 직접 문서를 생산했을 가능성, 이 영사의 주문을 받은 중국 쪽 인사가 생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정청래 의원도 “허룽시 공안 당국 담당자가 본인은 문서를 발급한 적이 없다고 한다”며 국정원의 위조 의혹을 제기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