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작업 주민 “1971~72년에 군부대서 요청” 증언
민간인 동원도 사실로… 미군·정부 주장과 상반
민간인 동원도 사실로… 미군·정부 주장과 상반
1960년대 말까지만 비무장지대(DMZ)에 고엽제를 살포했다는 주한미군과 한국 정부의 주장과 달리, 고엽제 살포 작업이 70년대 초반까지 계속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작업에 민간인도 일부 동원됐다는 증언도 나왔다. 녹색연합은 25일 강원도 철원군 생창리 민간인통제선 지역에 사는 주민 권종인(74)씨와의 인터뷰에서 60년대 말부터 70년대 초까지 민간인이 비무장지대 안 고엽제 살포 작업에 동원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녹색연합은 권씨가 “비무장지대 철책선 부근 시야 확보를 위한 불모지 작업을 수차례 지원했고 보호장비 없이 투입돼 고엽제에 노출됐다”고 증언했다고 전했다. 이는 70년대 초반까지 고엽제가 살포됐다는 의혹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녹색연합은 덧붙였다.
권씨는 이날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71~72년 봄에 군부대 요청으로 비무장지대 철책선 주변에서 제초작업을 했다”며 “해골과 우산이 그려진 시멘트 포대 비슷한 용기에 담긴 수숫가루 같은 분말을 군인들이 줬고, 이를 물에 풀어 분무기로 살포했다”고 말했다. 그는 “철조망이 쳐진 나무울타리 아래 모래를 깐 뒤 풀이 못 나게 약을 뿌렸다”며 “당시 바깥사람들이 많이 가서 그 일을 도와줬다”고 밝혔다. 그는 이 작업 이후 한때 결핵을 앓았으며 지금은 천식을 앓고 있다.
그동안 비무장지대 고엽제 살포 작업은 미 군사고문단이 만든 ‘식물통제계획 1968’에 따라 68~69년 미군 지휘 아래 한국군이 두 차례 벌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정부가 비무장지대에서 고엽제 살포를 담당한 미군 장병들에 대한 피해보상 기간을 공식 확인된 살포 기간보다 2년 이상 늘려 잡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군 주도의 고엽제 살포 작업이 70년대 초반까지 지속됐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지난 1월25일치 미국 정부 관보를 보면, 보훈부는 한국 비무장지대 고엽제 살포에 따른 피해보상 기간을 1968년 4월1일부터 1971년 8월31일까지 비무장지대에 근무했던 미군으로 확정했다. 이는 공식적인 고엽제 살포 기간인 1968년 4월1일부터 1969년 7월31일까지보다 2년 이상 늘어난 것이다.
한편 재미동포 블로거 안치용씨는 24일(현지시각) 실제 비무장지대에 뿌려진 모뉴론의 양이 한국 국방부 발표보다 50배가량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자신이 운영하는 누리집 ‘시크릿 오브 코리아’를 통해 밝혔다.
1968년 당시 미 군사고문단의 식물통제계획 문서와 2006년 12월 미국 국방부에 제출된 앨빈 영 박사의 보고서에는 에이전트 오렌지, 에이전트 블루와 함께 분말형 고엽제인 모뉴론이 7800드럼(39만7800파운드) 살포된 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1999년 당시 국방부 정책기획차장이었던 김태영 전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모뉴론을 7800파운드 뿌렸다고 밝힌 바 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은행들도 ‘묻지마 대출’…한해 이자이익만 37조
■ 프레젠테이션, 5분안에 승부보라
■ ‘성희롱 발언’ 강용석 의원 유죄
■ ‘검은 리본’에 연인의 소망 담았지만…
■ 청문회 통과도 못했는데…서규용, 벌써 장관?
■ 정재승 교수 “과학자는 하청업자다”
■ “강만수 사단이 서민경제 다 망쳐놨다”
<한겨레 인기기사> ■ 은행들도 ‘묻지마 대출’…한해 이자이익만 37조
■ 프레젠테이션, 5분안에 승부보라
■ ‘성희롱 발언’ 강용석 의원 유죄
■ ‘검은 리본’에 연인의 소망 담았지만…
■ 청문회 통과도 못했는데…서규용, 벌써 장관?
■ 정재승 교수 “과학자는 하청업자다”
■ “강만수 사단이 서민경제 다 망쳐놨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