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부터 코로나19 확진자 중 ‘집중관리군’ 위주로 유선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일반관리군은 동네 병·의원 비대면 진료를 받는 새 재택치료 체계에 돌입한 가운데 17일 서울 중구 보아스이비인후과병원에서 오재국 원장이 어제 확진판정을 받은 환자에게 전화 걸어 비대면 진료를 보고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22일 코로나19 재택치료자가 49만322명으로 50만명에 바짝 다가선 가운데, 확진된 임신부가 응급 분만할 곳을 찾지 못하거나 영유아가 응급상황에서 늦게 조처를 받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응급분만 병상을 늘리고 소아재택치료상담센터를 확대하는 등 대책을 내놨지만, 급증하는 의료 수요에 비해 더디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오전 정례브리핑을 통해 “확진자 산모들을 대비해 거점전담병원 그리고 분만병원협회하고 협조해서 현재 82개 병상을 확보했다”면서 “2월 중에는 200개 병상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18일 경북 구미시에선 전날 확진 임신부가 분만할 병원을 못 찾고 보건소에서 출산하는 등 확진자가 출산할 수 있는 병상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른 조처다.
하지만 현재 확진자 출산 병상은 지역별로 편차가 큰데다, 각 지역 간 연결하는 소통체계도 부족하다. 중수본에 따르면 확진자 출산 가능 병상이 수도권(강원포함) 54곳, 충청권 3곳, 호남권 3곳, 영남권 21곳, 제주권 1곳이다. 김재연 대한산부인과의사회장은 “분만팀과 산모를 연결해주는 라인이 있어야 한다. 각 지역별로 분만 가능한 병원은 어디라거나 실시간으로 전산망을 만들어 줘야 한다”면서 “그렇게 해주면 서로 전화할 필요 없이 이송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산부인과에서 확진자를 받을 인프라를 구축하려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감염내과)는 “전문병원들이 확진자를 보려면 동선부터 뜯어고쳐야 되는 상황이 되다보니까 아무도 나서지 못하는 것”이라며 “산부인과병원이 확진 산모를 맡겠다고 하는 순간 다른 산모들이 오지 않는데, 그것과 관련한 손실을 감당할 수 없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장기적으로는 음압격리 병상에서만 분만할 수 있도록 만든 지침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를 두고 박 국장은 “일부 병원에서는 코로나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은 별도 구역으로 구별을 한다든지 이렇게 해서 운영하는 방식 등 이행 단계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8일 재택치료를 받던 아기가 이송 중 숨진 이후 영유아, 소아·청소년 재택치료와 관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22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9만9573명) 가운데, 0~9살은 15.41%(1만5341명), 10~19살은 14.10%(1만4040명)에 이른다. 두 연령대를 합하면 29.51%로, 하루 확진자 3명 중 1명은 20살 미만 소아·청소년인 셈이다. 정부는 최근 소아과 의사가 상주하는 소아과재택치료상담센터를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영유아의 경우 특히 대면진료의 수요가 많은데 대면진료까지 할 수 있는 곳은 서울에 한 곳이 최근 문을 열었을 정도로 진척이 더디다. 중수본 관계자는 “소아과 같은 경우는 별도 통로라든지 음압 처리가 되어 있는 곳이 있다. 별도 통로가 있는 진료실을 통해서는 외래 진료를 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정부는 재택치료자 급증에 대비해 응급의료체계도 개선하기로 했다. 응급실에 코로나19 격리병상이 있다면 확진자를 수용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기로 했다. 또 입원체계도 간소화했다. 이전에는 확진자가 응급실을 통해서 입원을 한 경우에도, 시도 병상 배정반에 요청해서 배정을 받은 뒤 확진자를 준비된 병상에 옮길 수 있었다. 지난21일부터는 확진자를 치료한 의료기관이 판단하면, 별도의 의뢰과정 없이 바로 입원하는 구조로 바꿨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