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7일 낮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한 학원에서 학생들이 거리를 두고 앉아 공부하고 있다. 광명/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서울 모든 지역이 8년가량 동결해 온 학원 ‘교습비 조정기준’을 인상했다. 학원비 책정 가이드라인 구실을 하는 조정기준이 오르면서, 장바구니 물가뿐 아니라 사교육비 지출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21일 서울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서울 지역 11개 교육지원청 가운데 서부·성동광진·강남서초·남부·서양천·동작관악 등 6곳은 올해 교습비 조정기준을 올렸다. 서부교육지원청의 경우 올해 3월 1일부터 2012년 이후 약 10년 만에 8%가량 조정기준을 인상했다. 중부·동부·성북강북·강동송파·북부 등 나머지 5곳은 지난해 이미 조정기준을 올렸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서울 전 지역 교습비 조정기준은 지난해 대비 평균 3.5% 정도 높다”고 설명했다. 교습비 조정기준이란, 사교육 기관의 무리한 학원비 책정을 막기 위해 각 교육지원청이 정하는 분당 교습단가 상한선이다. 이러한 기준이 오르면, 학원비를 인상 폭도 그만큼 넓어진다.
서울 지역 교습비 조정기준은 평균 8년 동안 오르지 않았으나, 10년 만에 가장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2.5%)을 기록한 지난해부터 인상이 시작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정부 사교육비 억제 정책에 따라 서울의 경우 2013년부터 조정기준이 유지되면서 학원 쪽에서 꾸준히 올려달라는 요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학원비가 올라 가계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강영미 대전참교육학부모회 대표는 “2020년부터 아이를 보낸 피아노 학원과 미술 학원 모두 올해 중순 10% 정도 학원비를 올렸다”며 “아이를 많이 키우거나 학원을 많이 보내는 학부모 부담이 더 클 것”이라고 전했다. 학원업계는 교습비 조정기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선형 한국학원총연합회 부회장은 “직원 월급과 운영 경비 등이 해마다 오를 수밖에 없는데 교습비 조정기준이 수년간 동결돼 어려움이 컸다”고 말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