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 [난이도 = 중2~고1]
※ <보기>의 글을 바탕으로 추론한 것 중 바르지 않은 것은?
학문을 이 ‘학’과 ‘술’의 구별에 의하여 본다면 문과·이과의 학문은 자연과 인생 그 자체의 이해를 주로 하는 것이므로 그것은 ‘학’의 범위(範圍)에 속하는 것이요, 의·공·상 등 학문은 이용후생의 방법의 강구(講究)를 주로 하는 것이므로 그것은 ‘술’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용후생의 방법은 자연과 인생 그 자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에 근거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결국 ‘술’이란 것은 학의 토대 위에서만 성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까닭에 대학의 학문은 ‘술’보다 ‘학’에 치중하게 된다.
그러나 정신적 생활과 물질적 생활을 완전히 분리할 수 없는 것과 같이 ‘학’과 ‘술’도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원래 학리와 응용이란 것은 병행하지 않으면 그 존재 가치를 잃어버리는 것이다. 응용이 학리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학리도 응용이 없이는 무의미한 것이다.
-이상은, ‘학과 술’ ① 학문은 자연과 인생 그 자체의 원리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② 기술은 이용후생의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③ 기술의 발전은 학문의 발달을 근거로 삼는다. ④ 학문은 정신적 생활을 탐구하며, 기술은 물질적 생활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⑤ 학문은 응용 가능성이 높을 때 더욱 발전할 수 있다. ‘논리’란 주어진 사실을 전제로 새로운 것을 알아내는 합리적인 사고의 방식을 말한다. 사고의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자신이 겪은 일을 근거로 삼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원리를 적용하는 일이다. 경험을 바탕으로 한 논리는 비례관계를 토대로 대응하는 항목을 찾아내는 방식과 여러 가지 경험을 일반화하는 방식이 있으며, 적용의 원리는 일반 원리를 특정 사항에 직접 적용하는 방법과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논리적 사고를 잘못 적용하면 ‘오류’가 발생하는데, 오류란 사고 과정에서 반복되는 실수를 의미한다. 논리적 사고에서 유의할 점은 언어가 갖고 있는 의미이다. 언어 사용에서 가정에 근거한 것이나 주관적인 의미로 사용한 용어 등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닐 때가 많다. 위 글에서 글쓴이는 ‘학과 술의 관계’를 ‘정신적 생활과 물질적 생활의 관계’로 비유하였는데, 이는 ‘관계’에 초점을 맞춘 것일 뿐 네 개의 항목 사이에 비례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④는 적절한 추론이 아니다.
<정답>
이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국악’, ‘한국 음악’, ‘전통 음악’의 개념이 설명되었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hjy435@hanmail.net
-이상은, ‘학과 술’ ① 학문은 자연과 인생 그 자체의 원리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② 기술은 이용후생의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③ 기술의 발전은 학문의 발달을 근거로 삼는다. ④ 학문은 정신적 생활을 탐구하며, 기술은 물질적 생활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⑤ 학문은 응용 가능성이 높을 때 더욱 발전할 수 있다. ‘논리’란 주어진 사실을 전제로 새로운 것을 알아내는 합리적인 사고의 방식을 말한다. 사고의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자신이 겪은 일을 근거로 삼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원리를 적용하는 일이다. 경험을 바탕으로 한 논리는 비례관계를 토대로 대응하는 항목을 찾아내는 방식과 여러 가지 경험을 일반화하는 방식이 있으며, 적용의 원리는 일반 원리를 특정 사항에 직접 적용하는 방법과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논리적 사고를 잘못 적용하면 ‘오류’가 발생하는데, 오류란 사고 과정에서 반복되는 실수를 의미한다. 논리적 사고에서 유의할 점은 언어가 갖고 있는 의미이다. 언어 사용에서 가정에 근거한 것이나 주관적인 의미로 사용한 용어 등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닐 때가 많다. 위 글에서 글쓴이는 ‘학과 술의 관계’를 ‘정신적 생활과 물질적 생활의 관계’로 비유하였는데, 이는 ‘관계’에 초점을 맞춘 것일 뿐 네 개의 항목 사이에 비례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④는 적절한 추론이 아니다.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