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 [난이도 수준-중2~고1]
10. 글의 흐름 예측하기
11. 논리적 사고를 위한 전제 찾기
12. 논리적 추론과 오류
① 학문 생활은 진리를 탐구하는 생활이다.
② 학문의 자유는 진리를 말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③ 오류가 없는 생각이나 이론을 진리라고 말한다.
④ 진리 탐구는 자기비판과 객관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⑤ 자신의 신념이나 주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논리적 사고는 주어진 조건과 사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화자는 어떤 판단이나 주장을 하기 위해 일정한 조건을 제시하면서 논리를 펼쳐 나간다. 이 때 주어진 조건을 ‘전제’라고 한다. 전제는 어떤 사건이나 사실일 수도 있고, 화자가 사용하는 용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화자가 명시적으로 제시할 경우도 있으나, 모든 독자가 의심 없이 받아들일 수 있거나 자연스럽게 추론할 수 있는 것들은 굳이 진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찾는 것을 ‘전제 찾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화자가 명시하지 않은 조건을 찾아낼 경우 ‘숨은 전제 찾기’라고 일컫기도 한다. 이 문제에서 글쓴이는 ‘학문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며, 이러한 자유는 자신의 신념에 대한 엄격한 검토와 자기비판, 그리고 객관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 속에는 ‘학문 생활은 진리 탐구의 생활’이며, ‘학문의 자유는 진리를 말할 수 있는 권리’라는 전제가 명시적으로 주어져 있다. 또한 ‘진리는 오류가 없는 생각과 이론’을 말하며, ‘진리 탐구는 자기비판과 객관화 과정’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는 뜻도 포함되어 있다. ⑤는 전제가 아니라 글쓴이의 주장에 해당한다.
허재영 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hjy435@hanmail.net
■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답안 모범 답안은 “스트레스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느끼는 긴장감을 말한다.”이다. 글쓴이는 ‘적절한 스트레스를 삶의 원동력이며, 변화와 발전의 기본’이 되나 ‘과도한 스트레스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스트레스를 “살아가면서 느낄 수 있는 긴장감”으로 풀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적절한 긴장감과 과도한 긴장감은 우리에게 주는 효과가 다르다.
11. 논리적 사고를 위한 전제 찾기
12. 논리적 추론과 오류
| |
① 학문 생활은 진리를 탐구하는 생활이다.
② 학문의 자유는 진리를 말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③ 오류가 없는 생각이나 이론을 진리라고 말한다.
④ 진리 탐구는 자기비판과 객관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⑤ 자신의 신념이나 주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논리적 사고는 주어진 조건과 사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화자는 어떤 판단이나 주장을 하기 위해 일정한 조건을 제시하면서 논리를 펼쳐 나간다. 이 때 주어진 조건을 ‘전제’라고 한다. 전제는 어떤 사건이나 사실일 수도 있고, 화자가 사용하는 용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화자가 명시적으로 제시할 경우도 있으나, 모든 독자가 의심 없이 받아들일 수 있거나 자연스럽게 추론할 수 있는 것들은 굳이 진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찾는 것을 ‘전제 찾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화자가 명시하지 않은 조건을 찾아낼 경우 ‘숨은 전제 찾기’라고 일컫기도 한다. 이 문제에서 글쓴이는 ‘학문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며, 이러한 자유는 자신의 신념에 대한 엄격한 검토와 자기비판, 그리고 객관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 속에는 ‘학문 생활은 진리 탐구의 생활’이며, ‘학문의 자유는 진리를 말할 수 있는 권리’라는 전제가 명시적으로 주어져 있다. 또한 ‘진리는 오류가 없는 생각과 이론’을 말하며, ‘진리 탐구는 자기비판과 객관화 과정’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는 뜻도 포함되어 있다. ⑤는 전제가 아니라 글쓴이의 주장에 해당한다.
| |
■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답안 모범 답안은 “스트레스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느끼는 긴장감을 말한다.”이다. 글쓴이는 ‘적절한 스트레스를 삶의 원동력이며, 변화와 발전의 기본’이 되나 ‘과도한 스트레스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스트레스를 “살아가면서 느낄 수 있는 긴장감”으로 풀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적절한 긴장감과 과도한 긴장감은 우리에게 주는 효과가 다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