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
[난이도 수준=중2~고1] 8. 요약하기의 원리
9. 숨은 뜻과 추론하기
10. 글의 흐름 예측하기 ※ <보기>의 글을 대상으로 추론할 수 없는 것은?
① 통계학자는 숫자를 다루는 사람이다.
② 숫자를 다루는 사람은 통계학자이다.
③ 통계학자와 거짓말쟁이는 모두 계산을 활용한다.
④ 통계학자는 통계 자료에서 타당한 증거를 얻는다.
⑤ 통계학자는 타당한 자료에서 바른 결론을 얻는다.
글쓴이는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을 한 편의 글에 모두 진술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진술하지 않아도 독자가 알 수 있는 내용이거나 뛰어넘더라도 독자가 읽어내는 데 어려움이 없는 것들을 진술하지 않음으로써 간결하고 쉬운 글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자는 글 속에서 전제로 삼은 것이 무엇인지, 또는 글쓴이가 생략한 내용이 무엇인지를 짐작하며 독해를 해야 한다.
이 글에서 글쓴이는 ‘통계학의 특성’이 ‘통계 자료로부터 타당한 증거를 얻는 방법과 잘못된 결론을 내리지 않는 것’임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내려 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학자’와 ‘거짓말쟁이’를 대조하였는데, 그들은 모두 ‘숫자를 다루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숫자를 다룬다고 하여 모두 통계학자는 아니므로 ②는 타당한 추론이 아니다. 이처럼 조건문을 역으로 해석할 경우 잘못된 추론이 될 수 있다.
※ <보기>의 일화에서 추론할 수 있는 동양 철학에 대한 오해는?
허재영 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hjy435@hanmail.net
*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답안 이 글은 동양 철학에 대한 오해가 폭넓게 퍼져 있음을 전제로 한 글이다. 철학과 학생의 질문에는 ‘동양 철학은 이름 짓기(작명)를 하는 것’이라는 오해가 들어 있다.
[난이도 수준=중2~고1] 8. 요약하기의 원리
9. 숨은 뜻과 추론하기
10. 글의 흐름 예측하기 ※ <보기>의 글을 대상으로 추론할 수 없는 것은?
| |
| |
*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답안 이 글은 동양 철학에 대한 오해가 폭넓게 퍼져 있음을 전제로 한 글이다. 철학과 학생의 질문에는 ‘동양 철학은 이름 짓기(작명)를 하는 것’이라는 오해가 들어 있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