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랑의 진로 Q&A
이랑의 진로 Q&A / Q 컨설팅 업무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요구되는 능력과 진출할 수 있는 분야, 관련 직업에 대해 알려주세요. A 분야별 전문지식에 ‘의사소통 능력’ 기본 얼마 전 고임금 종사자들의 공통적인 능력으로 듣고 이해하기, 읽고 이해하기, 글쓰기 능력처럼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하다는 기사가 보도된 적이 있습니다. 그럼, 업무수행에서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한 직업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대표적으로는 개인 또는 기업 고객과의 충분한 의사소통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자문하는 컨설턴트를 들 수 있습니다. 컨설턴트는 각 분야별 전문지식을 가지고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합니다. 실제로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work.go.kr)에서 ‘컨설턴트’라는 키워드로 직업을 검색해보면, 경영컨설턴트, 정보통신(IT)컨설턴트, 이미지컨설턴트, 부동산컨설턴트, 아트컨설턴트, 서비스컨설턴트, 기상컨설턴트, 창업컨설턴트, 프리젠테이션컨설턴트, 환경컨설턴트 등 여러 분야에서 컨설팅 업무를 하는 직업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직업세계가 다양해지면서 컨설팅이 가능한 분야가 무궁무진해지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경영컨설턴트의 업무는 기업경영의 모든 분야와 연관이 있지만, 갈수록 경영전략, 인사 및 조직관리, 재무 및 회계, 생산 및 제품개발, 마케팅, 전산 및 정보시스템, 물류, 설비 등 전문 영역이 더욱 세분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경영컨설턴트가 아닌 새로운 직업 명칭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 때 창의적인 발상, 빙뱅(big bang)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자문하는 전문가들은 자신을 ‘아이디어(창출)컨설턴트’라고 소개합니다. 이처럼 컨설턴트와 관련한 새로운 직업은 정보통신, 문화, 예술, 서비스, 농업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롭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첨단융합산업, 녹색기술산업, 고부가 서비스산업이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고효율 에너지 건축물에 대해 자문하는 건물에너지컨설턴트, 인간 중심의 컴퓨터 사용환경을 만드는 HCI컨설턴트, 정부나 기업의 환경 관리를 자문하는 환경컨설턴트 등도 관심을 끌 것으로 보입니다. 이랑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