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그 시절 ‘케이 여동생’에게 이제라도 감사를!

등록 2021-08-21 07:35수정 2021-08-21 09:20

[한겨레S] 남지은의 토요명작 리플레이
번외편·‘K-여동생’ 잔혹사

그 시절 ‘K-여동생’들은 오롯이 오빠를 위한 삶을 살았다. <청춘의 덫> 강동숙(허영란)은 오빠 집에서 내내 밥 차려주고 청소한다. 유튜브 화면 갈무리
그 시절 ‘K-여동생’들은 오롯이 오빠를 위한 삶을 살았다. <청춘의 덫> 강동숙(허영란)은 오빠 집에서 내내 밥 차려주고 청소한다. 유튜브 화면 갈무리

지금까지 ‘토요명작 리플레이’에서 주옥같은 명작드라마 15편을 소개했다. 옛날 작품을 되짚으면서 고심한 건 ‘지금 보면 불편’한 장면을 꼽는 부분이었다. 수십년 전 시대를 지금 시선으로 평가하는 게 맞는 것일까? 여러 가지 감수성이 부족했던 그때는 그게 당연한 줄 알았을 테니까. 그런데도 꾸준히 언급한 이유는 ‘지금 보면 불편해요’라는 소소한 꼭지가 시대의 큰 변화를 보여줬기 때문이다.

가장 큰 ‘변화’는 그때의 로맨스가 지금은 추행이 된 행동들이다. <네 멋대로 해라>, <청춘의 덫>을 포함해 절반 이상에서 이런 행동이 등장했다. 당시 <네 멋대로 해라>의 한동진(이동건)은 진경(이나영)의 마음을 얻으려고 허세도 부리는 귀여운 남자였다. 지금 보면 그가 한 행동들은 사랑이 아닌 ‘추행’이다. 진경은 만취한 동진을 자신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호텔에 데려다주는데, 동진은 그 틈에도 진경을 덮치려고 한다. 뜬금없이 안고, 뽀뽀하려 들고…. 그런데도 당시에는 그저 “참 이상한 아저씨” 정도로만 여겨졌다.

&lt;마지막 승부&gt;의 윤영아(전유진). 오빠 밥상에 아빠 술상 차려주는 장면이 대부분이다. 그는 자신이 일해서 오빠를 대학에 보내려고 한다. 유튜브 화면 갈무리
<마지막 승부>의 윤영아(전유진). 오빠 밥상에 아빠 술상 차려주는 장면이 대부분이다. 그는 자신이 일해서 오빠를 대학에 보내려고 한다. 유튜브 화면 갈무리

‘무데뽀처럼’ 등장했던 폭력적 장면

<청춘의 덫> 노영국(전광렬)은 지금 시선에서 ‘신세가 역전’된 대표적인 인물이다. 당시 이 캐릭터에 왜 설렜을까 싶을 정도로 대사 한마디, 행동 하나 모두 불편하다. 노영국은 비서인 서윤희(심은하)한테 “서 대리는 싱싱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아직은 볼만하다”는 등 수시로 외모를 평가한다. 비서한테 자신의 할머니 병시중도 들게 하는 등 상사의 갑질로 볼 수 있는 행동도 서슴지 않는다. 아, <서울의 달>의 순박한 청년 박춘섭(최민식)한테서 스토커의 기질을 보다니. 차영숙(채시라)한테 반해 집앞에서 기다리는 것은 예사이고 출근길까지 따라간다. 김운경 작가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당시에는 일방적으로 마음을 표현하는 게 사랑이라 여겼던 시절이라 대본에 썼지만, 지금은 있어서는 안 되는 설정”이라며 “지금 같으면 스토커로 신고해야 할 일이다”라고 말했다.

“다 너를 위해서”라며 사랑으로 포장되던 폭력적인 행위도 자주 언급했다. <마지막 승부>에서는 농구팀의 선배가 후배한테 수시로 폭력을 행사한다. 김만재(허준호)는 라이벌전에서 졌다고 몽둥이를 들고 후배들 엉덩이를 때린다. 이런 행위들은 선배의 사랑으로 포장됐다. <사랑이 꽃피는 나무>에서는 의대생들 사이에서 내려오는 전통이라며 선배들이 후배들을 잠재우지 않고 우리 몸속 뼈 이름을 외우게 한다. 너무 힘들어 도망치려는 후배는 끈기 없는 패배자인 것처럼 여겼다. “우리 때도 다 그랬다”는 말은 지금은 사라져야 할 대사다.

옛날 드라마를 보면서 가장 가슴 아팠던 결정적인 장면은 지금부터다. 이름 한번 붙여봤다. ‘케이(K)-여동생 잔혹사.’ 달라진 시대에 다시 보니, 옛날 드라마 속 세상에서 많은 ‘케이 여동생’들은 내 삶 없는 삶을 살고 있었다. 희생을 강요받았고, 아니 그게 당연한 줄 알며 스스로 희생했다. <청춘의 덫> 강동숙(허영란)은 오빠 강동우(이종원) 집에서 이른바 ‘식모살이’를 한다. 강동우가 노영주(유호정)가 얻어준 아파트에서 혼자 살게 되자 그의 부모는 집안일을 해주라며 강동숙을 오빠 집에 보낸다. <마지막 승부>에서 윤철준(장동건)의 동생 윤영아(전유진)는 오빠를 대학 보내려고 자신의 삶을 희생한다. “내가 오빠 대학 보내줄게. 나야 어차피 계집애니까 여상 나오고 말 것이지만 오빤 원래 대학 가기로 작정했잖아. 오빤 꿈도 없어? 참고서건 뭐건 내가 다 구해줄게.” ‘여동생’한테도 꿈이 있잖아! 누가 현실에 순응하게 한 거냐, 시대를 거슬러 가 따져 묻고 싶다. 곧 소개할 <육남매>에서 말순(송은혜)은 오빠 밥 안 차려준다고 엄마한테 꾸중 듣기 일쑤다.

남성 우대가 팽배했던 1980~90년대는 ‘여동생’도 누나도 모두 장남을 위한 인생을 살았다. 누나들은 부모를 대신해 집안의 대소사까지 고민해야 하는 등 가장과 다름없는 무거운 인생을 살았다. <서울의 달> 차영숙도 트럭을 몰고 채소까지 팔며 살림을 건사했고 동생 공부까지 시켰다. 누나들의 희생은 최근 들어 ‘케이 장녀’라는 말로 많이 늦었지만 조명받고 있다.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에서 집안을 일으켜 세워야 했던 중전의 서사가 부각되면서부터다. 오롯이 오빠를 위한 삶을 살았던 ‘케이 여동생’은 누구한테도 위로받지 못하고 있다. 그들의 희생으로 성장했던 드라마 속 오빠들도 고마운 줄 모르고 한결같이 화만 낸다. 드라마 속에서도 윤철준과 강동우가 동생들한테 웃어주는 장면은 거의 없다. 1990년대 이후 남녀평등을 부르짖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여동생’과 ‘누나’들은 때론 시대를 거스르기도 했다. 곧 소개할 드라마 <아들과 딸>에서 이후남(김희애)은 부모 몰래 대입시험을 치른다.

그 시절에는 ‘여동생’은 물론 ‘맏딸’도 장남을 위해 희생해야 했다. 하지만 &lt;아들과 딸&gt; ‘후남이’(김희애)처럼 시대에 맞서 행동하는 이들도 있었다. 유튜브 화면 갈무리
그 시절에는 ‘여동생’은 물론 ‘맏딸’도 장남을 위해 희생해야 했다. 하지만 <아들과 딸> ‘후남이’(김희애)처럼 시대에 맞서 행동하는 이들도 있었다. 유튜브 화면 갈무리

‘케이 여동생’ 서러워 함께 울던 이들

그 시절 ‘케이 여동생’으로 살았던 이들도 옛날 드라마를 보며 자신의 인생을 곱씹는다. 한 시청자는 “초등학교 시절 오빠 밥을 해주느라 학교 마치면 바로 집에 와야 했다. 그래서 친구가 없었다”는 이야기를 개인 블로그에 썼다. 글만 읽어도 가슴이 아린다. 또 다른 시청자는 “그래서 과거 드라마를 보면 때론 눈물이 흐르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운경 작가는 “시대별 드라마를 통해 문화적인 가치가 새롭게 정립되고, 사회가 제대로 되어가고 있다는 걸 느낀다”고 말했다. 지금 세대는 그 시절이 불편할 수 있지만, 당대를 담은 드라마는 지금의 제작진을 성찰하게도 한다. 과거와 달리 요즘에는 오히려 뜨거운 논쟁들이 갈등을 불러온다는 이유로 드라마에서 마치 없는 일처럼 소홀히 다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네 멋대로 해라> 박성수 피디는 “좋은 작품은 시대의 가치관적 갈등과 통념을 담고 있어야 한다”며 “옛날 드라마를 보면서 요즘 드라마들이 이 시대의 담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반성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 시절을 보낸 수많은 ‘케이 여동생’들은 지금 어디에서 무얼 하고 있을까. ‘케이 여동생’의 희생으로 많은 오빠들이 자신의 삶에 최선을 다할 수 있었다. 그 시절 눈물 훔쳤을 ‘케이 여동생’에게 박수를 보낸다. 그리고 ‘케이 여동생’ 잔혹사로 꿈을 이룬 세상의 많은 윤철준이여, 강동우여! 지금이라도 감사한 마음을 표현해주기를.

남지은 기자 myviollet@hani.co.kr

언제든 옛날 콘텐츠를 다시 볼 수 있는 시대. 세대 불문 되감기하면 좋을 대중문화 작품을 소개한다. 연출, 연기, 이야기 기본 3박자에 충실하면서도 마음을 움직이는 옛 작품들이 콘텐츠의 본질을 일깨운다. 지금 시선에서 새 해석이 등장할지도. 제작진과 배우들의 비하인드 코멘터리도 담아보겠다. 3주에 한번 연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