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중행동, 전대협동우회, 긴급조치사람들 등 민주화운동단체 회원들이 18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밀정 공작’ 의혹을 받고 있는 김순호 경찰국장 경질과 경찰국 신설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왼쪽 사진). 오른쪽 사진은 김순호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이 같은 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는 모습이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공동취재사진
전국민중행동, 전대협동우회, 긴급조치사람들 등 민주화운동단체 회원들이 18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밀정공작’ 의혹을 받는 김순호 경찰국장의 경질과 경찰국 신설 철회를 요구했다.
민주화운동 출신 인사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두환 정권 시절 김순호 국장을 포함한 민주화학생운동 출신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했던 ‘녹화사업’의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경찰국 신설은 정부조직법에 어긋나고 법치주의를 부정하는 폭거임이 분명하다. 법치주의와 헌법, 민주주의를 훼손시키는 경찰국 신설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며 “국민적 공론화 과정과 국민적 합의를 통해 경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방안을 실효성 있게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김순호 경찰국장이 ‘밀정공작’을 목적으로 위장가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는 1989년 당시 인천부천민주노동자회 전 이성우 사무국장(앞줄 오른쪽 둘째)이 김 국장의 즉각 파면을 촉구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전국민중행동, 전대협동우회, 긴급조치사람들 등 민주화운동단체 회원들이 18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밀정 공작’ 의혹을 받고 있는 김순호 경찰국장 경질과 경찰국 신설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이날 기자회견에 함께 한 이성우 전 인노위 사무국장은 “나라를 위해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해 의롭게 살아보자던 뜻을 함께했던 젊은 시절의 선·후배가 한 사람은 밀정으로 또 한 사람은 열사가 되어 버린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라고 말하며 즉각적인 김 국장의 파면을 촉구했다. 김순호 경찰국장의 대학 1년 선배이자 인노회 동료였던 최동 열사는 김 국장이 잠적한 1989년 치안본부 대공분실에 끌려가 고문을 당한 뒤 후유증에 시달리다 1년 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편 이날 오전 11시
성균관대 재학생과 동문들도 서울 종로구 성대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순호 경찰국장이) 우리 동문이라는 것이 너무나 부끄럽고, 우리의 선배라는 것이 부끄럽다”며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성균관대 재학생과 동문들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성대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성균관대 출신 김순호 경찰국장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성균관대 재학생과 동문들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성대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성균관대 출신 김순호 경찰국장의 사퇴를 촉구하며 부끄러운 성균인상 수여식을 진행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1980년대 후반 인천부천노동자회(인노회) 조직책으로 활동했던 김순호 경찰국장은 인노회에 같이 활동한 이들의 정보를 주고 1989년 8월 ‘대공특채’로 경찰에 입문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그가 경찰에 입문한 전후 그가 활동했던 인천·부천 등지 노동운동가들은 잇따라 연행되는 등 대공수사의 표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김 국장은 밀정 의혹과 관련한 박성민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인노회는 당시에는 이적 단체였다”고 주장하며 “주사파라고 불리는 주체사상에 대한 염증과 두려움 때문에 전향했고 이런 것들을 해소하는 길이 뭔가 이렇게 생각한 끝에 경찰에 되겠다 생각했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당시 대공요원 특채시험이 있다는 걸 알게 돼 응시한 뒤 서류 전형과 면접·필기 시험에 모두 합격해서 채용됐다”며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김순호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이 1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