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과 관련해 금품 살포의 최종 수혜자로 지목된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가 2일 오전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1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돈봉투를 살포한 의혹과 관련해 수사 선상에 올라있는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가 7일 오전 다시 한번 검찰에 자진 출석할 예정이다.
송 전 대표 쪽 변호인은 6일 오전 <한겨레>에 “7일 오전 9시30분께 서울중앙지검에 자진 출두하여 면담을 시도하겠다”며 “검찰은 면담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인데, 면담이 불발되면 즉석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1인 시위를 하겠다” 고 밝혔다.
‘민주당 돈봉투’ 의혹이 터진 뒤 지난 4월 24일 프랑스에서 귀국한 송 전 대표는 지난달 2일에도 검찰청에 갔지만 입구에서 걸음을 돌렸다. 그는 1층 민원실에서 “변호사를 통해 반부패수사2부 부장에게 면담 요청을 했다. 사무실에 연락해달라”고 했지만 대답을 듣지 못했다. 발걸음을 돌리면서 송 전 대표는 기자들에게 “차라리 절 구속해달라”며 신속한 수사를 요구했다.
이후 한 달 동안 검찰은 돈봉투 살포를 주도한 혐의로 강래구 전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을 구속하고, 송 전 대표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윤관석·이성만 의원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등 수사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송 전 대표를 조사하기 전에 아직 확인할 것이 남았다는 게 검찰 입장이다. 검찰 관계자는 송 전 대표의 두번째 출석 예고와 관련해 “사전에 협의된 사실이 전혀 없고, 조사할 계획이 없다”고 했다.
송 전 대표는 주변 사람들이 검찰 조사를 받는 동안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널 등을 이용해 여론전을 펼쳐왔다. 그는 지난달 29일 글을 올려 “대화 녹취를 별건 수사를 통해 불법적으로 추출한 검찰이 특정 언론과 야합하여 피의사실을 사전에 공포하여 정치적 기획 수사를 하고 있다”며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검찰이 이정근 녹취에 기초한 돈 봉투 논란 사건을 수사하는 것처럼 태영호 의원, 이진복 수석에 대한 즉각적인 압수수색 출국 금지 등 적극적인 수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