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한국사회 ‘혼란과 갈등’ 끝나지 않았다

등록 2007-01-03 19:18수정 2007-01-10 10:40

[1987년 그뒤 20년] 386세대 500명 설문조사
<한겨레>는 1987년의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기 위해 당시 청년기를 보낸 만 35~45살의 전국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였다. 61~71년생인 이들은 대학을 다녔다면 80~90학번에 해당해 386세대라고 부를 수 있다. 이번 여론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플러스’에 의뢰해 지난해 12월22~23일 이틀동안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오차한계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이다.

회사원 오태성(41)씨는 1987년 ‘6월 항쟁’ 때 아예 학교에 나가지 않았다. 서울 종로, 시청 앞 광장, 청계천 등 길거리를 내달리며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쳤다.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현재, 오씨는 “형식적인 민주주의에선 현격한 변화가 이뤄졌지만, 아직도 질적인 부분에서는 미흡한 구석이 많다”고 말한다. 특히 “지난해 부동산값 상승으로 집 소유 여부에 따라 양극화가 심화했다”는 게 오씨의 생각이다. 386세대를 대상으로 한 <한겨레> 여론조사에서도 많은 응답자들이 오씨와 비슷한 생각을 드러냈다.

1987년이나 지금이나 똑같이 혼란스럽다?=87년 당시의 한국사회를 표현하는 단어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선택한 것은 ‘혼란’(37.6%), ‘독재’(19.4%), ‘갈등’(16.0%) 따위였다. 독재정권의 폭압이 심했고, 이에 맞선 민주화운동 역시 활발했던 상황을 보여준다. 그런데 지금의 한국사회를 표현하는 단어에서도 ‘혼란’(35.2%), ‘갈등’(23.0%), ‘불평등’(22.0%) 따위가 수위를 지켰다. 한국사회는 여전히 ‘혼란’과 ‘갈등’ 속을 헤매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그 혼란과 갈등의 내용은 달라 보인다. 87년의 한국사회에 대해선 ‘독재’가 두번째로 많이 떠오른 열쇳말인 반면, 현재는 ‘불평등’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자유는 신장됐으되 평등은 후퇴했다는 인식인 것이다. 달리 말해, 절차적 민주주의는 진전됐지만 질적인 민주주의는 아직 미흡하다는 평가로 풀이할 수도 있다.

한편, 87년과 관련해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으로는 33.8%가 박종철씨 고문치사 사건을 꼽았고, 이어 6·10 민주항쟁(18.4%), 6·29 선언(16.2%), 대통령선거(13.4%), 이한열씨 사망(9.6%), 노동조합운동(2.8%) 차례였다. 도도했던 민주화 운동의 추억은 다수의 기억 속에 아직도 여전한 셈이다.

정치적 관심의 쇠락=개인적인 관심사는 어떻게 변해왔을까? 응답자들은 20년 전의 가장 큰 관심사(복수응답)로 진로, 경제안정, 직장 등 경제생활(56.4%)과 사회 민주화(23.8%)를 많이 꼽았다. 이는 386세대가 개인사와 함께 민주주의 정착에 큰 관심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특히 당시 대학을 다니던 이들은 동년배 평균보다 많은 30.6%가 사회 민주화를 당시의 관심사로 꼽았다.

반면 현재의 관심사(복수응답)로는 압도적 다수인 72.0%가 직장, 노후, 부동산, 재테크 등 경제문제를, 43.8%가 자녀교육, 건강 등 개인문제를 꼽았다. 정치 안정, 대통령 선거 등 정치문제를 관심사로 든 이는 15.4%에 그쳤다.

이는 87년 당시의 20대 청년들이 어느덧 경제활동의 주축이자 한 가족의 가장인 40대로 성장한 상황을 반영하기도 한다. 회사원 김상수(41)씨는 “외환위기 이후 평생직장 개념은 사라진 대신 경쟁이 치열해져 스트레스가 상당하다”며 “가정에 돌아가도 중학교에 다니는 아이의 교육, 내집 마련 등 신경 쓸 일이 많아 민주화나 정치 등에 대한 관심은 자연스레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정치에 대한 관심 하락은 투표율 하락과도 맥을 같이 한다. 1987년 대통령선거에서 89.2%였던 투표율은 2002년 70.8%로 급격히 떨어졌다. 최장집 고려대 교수(정치학)는 이를 두고 저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서 민주화 이후 정부들이 한결같이 보여준 무능과 무책임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87년 민주화운동 헛되지 않다’ 80% 이상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대 다수는 1987년 6월 항쟁과 이를 주도한 민주화 세력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87년 6월 항쟁이 한국사회 민주화에 기여했다고 보는지를 묻는 질문에 28.6%가 ‘매우 그렇다’, 53.4%가 ‘그렇다’고 답했다. 80%를 넘는 압도적 비율로 긍정적인 답이 나온 것은 그만큼 많은 이들이 당시 6월 항쟁의 필요성에 공감했고 이를 통해 얻은 성과를 인정했음을 보여준다.

87년 민주화 세력이 이후 한국사회 변화에 기여했느냐는 질문에도 84.6%가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매우 기여했다’ 12.0%, ‘기여했다’ 72.6%). 지지정당별로 보면 열린우리당 지지자의 87.3%, 한나라당 지지자의 83.0%, 민주노동당 지지자의 92.5%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87년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선 정치적 성향과 무관하게 고른 평가가 나오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정훈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검찰 수심위, ‘김건희 명품백’ 최재영 기소 권고…‘8대7’ 1표가 갈랐다 1.

검찰 수심위, ‘김건희 명품백’ 최재영 기소 권고…‘8대7’ 1표가 갈랐다

몸통 잘려 몸부림치는 랍스터, 왕관 씌워 14만원에…“사이코인가” 2.

몸통 잘려 몸부림치는 랍스터, 왕관 씌워 14만원에…“사이코인가”

‘비례대표 공천해줄 테니 헌금 내라’ 전광훈 목사 검찰 송치 3.

‘비례대표 공천해줄 테니 헌금 내라’ 전광훈 목사 검찰 송치

[단독] 정부, 상급병원 4인실 이하 입원료 50% 올리기로 가닥 4.

[단독] 정부, 상급병원 4인실 이하 입원료 50% 올리기로 가닥

‘흑백요리사’ 안성재, 일식당 관둔 사연 “이치로가 죽여버리겠다고…” 5.

‘흑백요리사’ 안성재, 일식당 관둔 사연 “이치로가 죽여버리겠다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