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5·18기념식’ 참석
기념사 ‘국가 선진화’에 대부분 할애
경찰 8천명 동원 삼엄한 분위기 연출 10년 만의 정권교체 뒤 첫번째로 맞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 5·18 민주묘지에서 열렸다. 기념식은 기습시위를 우려해 대통령 경호용 헬기와 폭발물 탐지견까지 동원한 삼엄한 분위기 속에 치러졌다. 경찰은 묘지 일대에 물대포로 무장한 80개 중대 8000명을 동원해 이중삼중으로 촘촘한 경호작전을 펼쳤다. 시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려고 5·18 민주묘지에서 3㎞ 떨어진 망월동 삼거리부터 주차증이 없는 차량을 돌려보내고, 3㎞ 구간에 3~4m 간격으로 경찰을 세웠다. 행사장 안에서도 비표가 없는 6·15 연대 회원을 끌어내고, 자리를 옮기는 참석자를 제지하는 등 민감하게 대응했다. 이런 대응은 올해 5·18 기간에 노동·농민·학생 단체들이 광주로 대규모로 집결한데다,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이 한총련 학생들의 시위로 후문 입장을 하는 곤욕을 치렀던 전례 때문이다. 또 이 대통령이 한나라당 소속 대통령으로는 처음 5·18 행사에 참석하는데다, 최근 ‘쇠고기 수입 협상 파문’ 등으로 인한 여론 악화 등도 고려됐다. 이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마찬가지로 5·18을 ‘민주화운동’으로 규정했다. 이 대통령은 5·18을 “지금과 같은 민주화 사회를 이루는 데 큰 초석”, “위대한 민주주의의 진전을 이뤄냈다”고 정의했다. 다만 1980년 내란음모사건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던 당시를 회상하며 “이름만 불러도 가슴이 저며지는 충장로와 금남로”라고 말한 김대중 전 대통령이나, “참여정부는 5·18광주의 희생이 만들어낸 정부”라고 자신있게 언급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기념사에 비해선 다소간의 ‘정서적 거리감’이 읽혔다. 대신 이 대통령은 대선 때부터 강조했던 ‘선진화’에 기념사의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이 대통령은 “5·18을 선진일류국가를 건설하는 정신적 지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며 “역사는 지금 산업화·민주화를 거쳐 선진화를 이뤄내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념식 마지막 순서인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 때, 이 대통령은 두세 소절을 따라 부르기도 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권태호 기자 ho@hani.co.kr
경찰 8천명 동원 삼엄한 분위기 연출 10년 만의 정권교체 뒤 첫번째로 맞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 5·18 민주묘지에서 열렸다. 기념식은 기습시위를 우려해 대통령 경호용 헬기와 폭발물 탐지견까지 동원한 삼엄한 분위기 속에 치러졌다. 경찰은 묘지 일대에 물대포로 무장한 80개 중대 8000명을 동원해 이중삼중으로 촘촘한 경호작전을 펼쳤다. 시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려고 5·18 민주묘지에서 3㎞ 떨어진 망월동 삼거리부터 주차증이 없는 차량을 돌려보내고, 3㎞ 구간에 3~4m 간격으로 경찰을 세웠다. 행사장 안에서도 비표가 없는 6·15 연대 회원을 끌어내고, 자리를 옮기는 참석자를 제지하는 등 민감하게 대응했다. 이런 대응은 올해 5·18 기간에 노동·농민·학생 단체들이 광주로 대규모로 집결한데다,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이 한총련 학생들의 시위로 후문 입장을 하는 곤욕을 치렀던 전례 때문이다. 또 이 대통령이 한나라당 소속 대통령으로는 처음 5·18 행사에 참석하는데다, 최근 ‘쇠고기 수입 협상 파문’ 등으로 인한 여론 악화 등도 고려됐다. 이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마찬가지로 5·18을 ‘민주화운동’으로 규정했다. 이 대통령은 5·18을 “지금과 같은 민주화 사회를 이루는 데 큰 초석”, “위대한 민주주의의 진전을 이뤄냈다”고 정의했다. 다만 1980년 내란음모사건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던 당시를 회상하며 “이름만 불러도 가슴이 저며지는 충장로와 금남로”라고 말한 김대중 전 대통령이나, “참여정부는 5·18광주의 희생이 만들어낸 정부”라고 자신있게 언급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기념사에 비해선 다소간의 ‘정서적 거리감’이 읽혔다. 대신 이 대통령은 대선 때부터 강조했던 ‘선진화’에 기념사의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이 대통령은 “5·18을 선진일류국가를 건설하는 정신적 지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며 “역사는 지금 산업화·민주화를 거쳐 선진화를 이뤄내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념식 마지막 순서인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 때, 이 대통령은 두세 소절을 따라 부르기도 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