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촛불’ 갈수록 진화
부산·경남, 화물연대 파업에 임단협 투쟁 맞물려
대구·경북, 학교 학원화 등 사교육 조장 불만 고조
대전·충남, 행정도시·균형발전 후퇴 반발 잇따라 ‘6·10 촛불집회’에는 최대 인파가 모인 서울을 제외하고도 전국 110여 곳에서 20만명의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광주 5만명, 부산 3만명, 대구 6천명, 대전 5천명 등 1987년 6월 항쟁과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맞먹는 숫자다. 이를 계기로 그동안 소극적이었던 각 지역에서도 촛불집회가 더 가열될 가능성을 보여줬다. 특히 미국산 쇠고기를 포함해 모든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서울과 달리 각 지역에서는 지역 정서나 특성을 반영한 모습들이 나타났다. 조선·자동차 등 대공장을 끼고 있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은 13일 전국운수노조 화물연대의 총파업을 시작으로, 각 사업장 노조의 올해 임단협 투쟁까지 맞물려 촛불집회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자동차 노조가 지난 10일 잔업 거부를 벌인 데 이어 민주노총의 주요 사업장 노조들이 앞다퉈 총파업 찬반투표에 들어갔다. 노동자들은 최근 촛불집회에도 대거 가세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승환 민주노총 부산본부 선전부장은 “이명박 정부의 친기업 정책, 공공부문 사영화, 물가 인상으로 인한 노동자들의 불만이 목에 차오른 터에 쇠고기 문제가 터졌다”며 “노동자들이 촛불집회와 임단협 투쟁을 함께 벌여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수적 성향인 대구·경북 지역의 정서도 상당히 달라졌다. 이 지역 시민들이 이명박 대통령의 당선에 중요한 노릇을 했지만, 이제 정부의 잘못에 대한 지적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거리나 차량 안의 시민들이 촛불집회에 화를 내기는커녕 박수를 보내는 모습에서도 이런 변화가 감지된다. 예전부터 교육열이 유별난 이곳에서는 교육 자율화, 영어 몰입교육 등 현 정부의 정책이 사교육을 부채질하고 경제력이 넉넉지 않은 부모와 아이들을 힘들게 한다는 불만이 자주 터져 나온다. 유모차를 끌고 10일 촛불시위에 나온 성영주(34)씨는 “3살, 6살 남매를 키우는 처지에서는 이 정부의 교육정책이 정말 문제라고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충남 지역의 이명박 정부 비판 정서는 강력하지는 않지만 밑바탕에 스며 있다. 이를테면 충남지역은 16개 시·군 가운데 15곳에서 촛불집회가 열릴 정도로 정부에 부정적이다. 특히 지역균형 발전의 핵심 축인 행정도시가 건설 중인 충남의 경우 정부가 사실상 지역균형 발전 정책을 포기하거나 축소할 것이라고 심각히 우려하고 있다. 대전참여연대 금홍섭 사무처장은 “자유발언을 들어보면 쇠고기나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된다”며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도시와 지역균형발전를 후퇴시키는 조처까지 나온다면 촛불집회는 더욱 장기화하고 강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호남 지역은 최근까지 이명박 정부의 정책을 지켜보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지난 10일 금남로에 모인 5만명의 시민들은 “이제는 할 이야기를 해야 한다”고 말하기 시작했다. 윤난실(43) 광주시 전 의원은 “그동안은 서울의 촛불집회를 구경하는 분위기였지만, 10일을 계기로 점차 열기가 달아오름을 느낀다”고 말했다. 부산 대구 대전 광주/신동명 박영률 손규성 정대하 기자 tms13@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딴청·외면·무시…한국 협상단 ‘한숨만’
▶ ‘한국의 촛불’ 미국 소비자들까지 움직이게 해
▶ 외신들 ‘촛불’ 주목…중국선 “친미” 비판
▶ 5시간 ‘스티로폼 논쟁’ 끝에 민주주의 쌓았다
▶ “이것이 국보 0호 명박산성” 조롱거리 된 ‘컨테이너 철벽’
▶ 정형근, 촛불배후설 비판 “정보기관 시대착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