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항일 ‘굴곡진 100년사’]
친일파 후손들은 조상의 행위를 어떻게 평가할까.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위원회) 관계자는 “후손들의 반응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고 설명했다.
첫째, 조상들의 친일 행위를 부인하는 경우다. ‘우리는 뿌리 깊은 명문가’라거나 ‘오히려 남몰래 독립운동을 지원했다’고 변명한다. 심지어 ‘밤늦게 수상한 사람들이 찾아와 군자금을 얻어갔다’거나 ‘독립운동가들과 내기 바둑을 두며 일부러 져줬다’는 웃지 못할 핑계를 대는 후손도 있다.
둘째는 친일 행위는 인정하지만 ‘가족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변명하는 유형이다. ‘환수 대상인 재산이 친일의 대가가 아니다’고 주장하거나 ‘교육사업 등 민족을 위해 다른 일도 많이 했다’는 해명도 이에 해당한다. 위원회 관계자는 “주로 친일 행적이 분명하고, 환수해야 할 재산이 많은 후손들이 이런 반응을 보인다”고 말했다.
셋째는 무대응이다.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인정돼 재산조사가 들어가거나, 재산의 국가 귀속 결정이 내려지면 관련 내용이 후손들에게 통보되는데도 전혀 반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이경미 길윤형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