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트, 타인의 공포에 공감하는 뇌회로 규명
손상되면 감정이입 없어…치료법 개발 가능성
손상되면 감정이입 없어…치료법 개발 가능성
‘사이코패스’로 불리는 연쇄살인범 유영철·강호순의 뇌 구조는 일반인과 다를까?
적어도 동물 차원에서는 뇌의 특정 부위가 손상하면 타자의 고통에 공감하는 능력이 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 신경과학센터장은 2일, 타자의 공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뇌 부위의 특정회로가 고장나면 감정이입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의 논문은 1일(영국시각) 과학저널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인간은 통증이나 공포를 느낄 때 기능성 자기공명장치(에프엠아르아이)로 촬영하면 뇌의 시상과 체감각 대뇌피질, 전측대상회피질(에이시시) 등이 활성화된다. 에이시시의 경우 타인의 공포에 공감할 때도 활성화된다.
연구팀은 새로 고안한 실험방법으로 쥐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다른 쥐의 고통을 보고 반응을 하는지를 관찰했다. 쥐에게 ‘삑’ 하는 소리와 함께 전기 자극을 가하자, 투명막이 쳐진 옆 공간에서 이를 본 첫 번째 다른 쥐가 반응을 했다. 그러자 첫 번째 쥐와 같은 공간에 있으면서도 소리 등이 차단된 두 번째 쥐도 반응을 보였다. 반응도는 10주 이상 함께 지내 친밀도가 높아진 형제 쥐나 부부 쥐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에프엠아르아이로 촬영하니 사람과 마찬가지로 에이시시가 활성화됐다.
그러나 이 부위를 마취시킨 뒤 촬영을 해보니 쥐들은 공감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신 센터장은 “동물에게서도 공포에 대한 공감반응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낸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이들 쥐 가운데 일부를 유전학적 기법으로, 에이시시에서 흥분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엘-타입 칼슘채널통로를 제거한 뒤 같은 실험을 하자 공포 공감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 관찰됐다. 신 센터장은 “엘-타입 통로가 에이시시에서 흥분성을 조절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으나 공포 공감반응에 관련돼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는 처음”이라며 “이번 연구로 엘-타입 통로는 사이코패스나 자폐증처럼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한 정신질환 치료제 연구의 한 가지 목표(타깃)가 됐다”고 밝혔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