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조선족학교 2곳뿐…자녀 보내려는 사람도 많지 않아

등록 2011-11-20 19:55

장학규(48)씨가 딸 혜경이의 숙제를 도와주고 있다. 혜경이는 올해 칭다오의 조선족소학교인 청양정양학교에 입학했다.
장학규(48)씨가 딸 혜경이의 숙제를 도와주고 있다. 혜경이는 올해 칭다오의 조선족소학교인 청양정양학교에 입학했다.
일곱살 혜경이는 아침 6시에 일어난다. 한 시간 동안 버스를 타고 가야 조선족 소학교(초등학교)에 도착한다. 그가 다니는 칭다오시 청양정양학교는 동북3성 바깥에서 유일하게 정부 인가를 받은 조선족학교다. 유치원생을 포함해 500여명의 조선족 아이들이 다니고 있다. 2000년 8월 문을 연 학교는 영어·수학을 중국어로, 나머지 과목을 조선말로 가르친다. 그래도 혜경이의 생활언어는 중국어다. 집에 돌아오면 중국어 방송에서 만화를 본다.

혜경의 아버지 장학규(48)씨는 원래 항저우(항주)에서 사업을 했다. “더 있다가는 딸이 우리말도 못 배우고 한족 아이가 되겠다 싶어” 딸의 학교 입학을 앞두고 칭다오로 이사했다. 민족교육에 대한 소신은 집안 내력이다. 흑룡강성 목단강의 한족 마을에 살았던 장씨의 아버지는 멀리 떨어진 옆동네 조선족학교에 아들을 보냈다. 장씨의 아버지는 한족 마을을 ‘되놈 마을’이라 불렀다.

민족적 자부심을 딸에게 물려주려는 장씨는 한 학기 학비로 4800위안(약 85만원)을 낸다. 동북지역 조선족학교가 공립인 것과 달리 청양정양학교는 사립이다. 칭다오에선 돈이 있어야 민족교육을 시킬 수 있다. 칭다오의 조선족학교는 청양정양학교와 아직 정식 인가를 받지 않은 서원장학교 2곳뿐이다. 칭다오 조선족 인구 13만명을 생각하면 턱없이 부족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자녀를 민족학교에 보내려는 조선족이 많지 않다.

“예전엔 동북 농촌마을을 벗어날 일이 없으니 중국어가 필요없었는데, 청도에서는 중국말 잘 못하면 업신당하니까 자식들을 한족학교에 보낸다”고 장씨가 조선족 학부모의 처지를 설명했다. 그것은 경험에서 비롯한 선택이다. 중국어를 못하면 한족과 사귈 수 없고 한족을 모르면 도시에서 사업을 할 수가 없다. 민족교육의 소신은 시장경쟁 앞에서 무기력하다. 칭다오/유신재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천주교 신부님 1466명 “윤석열에 파면 선고…대통령 사명 저버려” 1.

천주교 신부님 1466명 “윤석열에 파면 선고…대통령 사명 저버려”

청량리 역사 쇼핑몰 7층서 50대 남성 추락 심정지 2.

청량리 역사 쇼핑몰 7층서 50대 남성 추락 심정지

폭설로 지하철 몰린 시민들 “거대 인파, 이태원 공포 떠올라” [영상] 3.

폭설로 지하철 몰린 시민들 “거대 인파, 이태원 공포 떠올라” [영상]

‘윤 대통령 모교’ 서울대 교수들 “죄스럽다”…525명 시국선언 4.

‘윤 대통령 모교’ 서울대 교수들 “죄스럽다”…525명 시국선언

한동훈, 도로교통법 위반 신고돼…“불법정차 뒤 국힘 점퍼 입어” 5.

한동훈, 도로교통법 위반 신고돼…“불법정차 뒤 국힘 점퍼 입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