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 예상한듯 분노속 차분한 대응
새로운 차원 역사운동 전개 가능성
새로운 차원 역사운동 전개 가능성
“또다른 차원의 역사운동을 전개해 나가겠다.”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고시를 강행한 3일, 역사학계와 교육계가 참담함과 분노를 감추지 못하면서도 ‘후속 행동’을 예고하고 있다. 상아탑 안 역사학자 등이 ‘역사운동’을 예고하고 나선 가장 큰 이유는, 정부가 학계와 여론의 반대 목소리에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역사학계와 교육계에서는 이날 이미 고시 강행을 예상했다는 반응이 많았다. 정부가 개최한 전문가 간담회 자리 등에서 이미 학계 등의 의견 수렴이 ‘요식행위’라는 점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것이다. 지난 9월15일, 황교안 국무총리와 역사학계 간담회에 참석했던 한 교수는 “혹시나 했지만 지난달 12일 행정예고 결정 이후에는 (고시 강행을) 정책적으로 결정했다는 느낌이 들었다”면서 “20일 동안 찬성 쪽 의견을 공고히하는 작업을 했을뿐 반대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평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사립대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교수도 “합리적 이성을 갖고 설득하지 않고 사회 전체를 분열시켰다. 관료조직(교육부)이 나서서 국민을 선동하고 보수단체가 이를 지원하는 모습에서 파시스트 국가의 모습을 느꼈다”라고 했다.
참담함과 분노 속에서 학계는 장기적인 ‘싸움’, 또다른 차원의 ‘운동’을 준비하는 분위기다. 이달 말 집필에 들어가는 국정 교과서에 대항할 수 있는 대안적 역사교재 제작과 강연과 체험학습 등 새로운 교육방법이 가장 먼저 거론되고 있다. 대학 내 성명을 주도했던 한 역사 전공 교수는 “지난해부터 국정화가 될 것에 대비해 준비하던 작업들이 있다. 민주시민으로서 알아야 하고 역사의식을 보호할 수 있는 한국사 책을 만들어내는 게 급선무인 만큼 학교 밖 단체들과도 연대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국가가 ‘올바름’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왜 문제인지 이참에 시민들과 함께 역사의 본질을 묻는 방법도 모색하고 있다. 오수창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는 “과거의 역사학자들과 사관을 떠올리게 하는 날이다. 권력과 폭력에 맞서 역사학의 전통을 세워온 수많은 선배 학자와 사관이 있는 반면 임진왜란 때 사초를 버리고 달아나 지탄을 받는 사관도 있다”라며 “역사학자로서 취할 자세와 행동을 따져보고 나아갈 방향을 결정해야 할 때다. 이번 기회에 연구실과 책 속에서 뛰쳐나와 시민과 함께 문화운동으로 승화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이슈국정교과서 논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