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이 6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일본이 한국발 입국 제한을 강화한 일을 두고, 한국의 방역대응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결정이었다고 지적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일본의 한국발 입국 제한 강화는) 우리 정부와 지자체 노력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감안한 조처라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전날 일본은 한국에서 입국하는 사람 모두를 대상으로 검역을 강화하고, 2주간 ‘대기’를 요청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김 조정관은 “(일본이) 사전에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한 상황이어서, (현재 명확한 우리 입장을)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면서도 한국 정부가 방역과 국제사회 정보 공개를 통해 노력해왔기에 일본의 조처가 적절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조정관은 “(한국은) 다른 나라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수의 의심 사례들을 선제적으로 검사해서 조기에 환자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외국에 있는 우리(나라) 공관들을 통해서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주한 외교단에 대해서도 오늘까지 두 차례의 설명회가 진행된다”며 “이렇게 국제사회에 신속하고 투명하고, 상세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사례를 찾기 어렵다고 평가받고 있을 정도”라고 설명했다. 중대본은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음압병상 추가 확보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현재 29곳의 국가지정격리치료기관에서 운영 중인 음압병상은 모두 198개다. 김 조정관은 “환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중증환자 치료를 위한 병상을 추가 확보하기 위해 16개 국립대학교 병원장 회의를 개최해 긴급하게 가동할 수 있는 중증환자 치료병상 250개를 3월 중 신속하게 확보할 계획”이라고 했다. 서울대병원 40병상, 경북대병원·충북대병원 각 30여 병상 등이 추가 확보 대상에 포함될 예정이다.
김 조정관은 경증 코로나19 환자들이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도 지속해서 확충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확보된 865실에 더해 내주 초까지 경증환자 1600여명이 더 입소하도록 생활치료센터를 늘릴 계획이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