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서울 구로구의 코리아빌딩에서 11일 오전 이틀째 입주민과 입주사 대상 진단검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서울 구로구의 콜센터 관련 코로나19 확진자가 90명을 넘어서면서, 방역당국이 콜센터와 같은 고위험 사업장에 대한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했다. 콜센터뿐 아니라, 노래방과 피시방, 클럽, 스포츠센터 등도 집단감염 발생 우려가 있다고 방역당국은 보고 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대본은 오늘 집단감염이 발생하기 쉬운 사업장과 시설 등에 대한 집중관리방안에 대하여 긴급하게 논의했고 신속한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중수본은 이날 오전 7시 기준 확진자가 90명이나 나온 서울 구로구 콜센터와 같은 환경이 밀폐된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오랜 시간을 보내고 업무 특성상 비말(침방울) 감염 위험성이 커, 집단 감염 발생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방역당국은 유사한 특성이 있는 사업장에서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재택·유연 근무 △온라인 활용 근무 △출·퇴근 시간 및 점심시간 조정 △사무실 좌석 간격 조정 등을 통해 사업장 내의 밀집도를 낮춰 김염 위험을 낮추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 관리자가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루 두차례 발열·호흡기 증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유증상자의 출근 또는 시설 이용 중단 및 업무배제, 종사자·방문자 목록 관리 등을 실시하도록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