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전 정대협 대표가 아버지에게 ‘위안부’ 할머니를 위한 ‘힐링센터’ 관리를 맡기고, 남편이 운영한 신문사에 정대협 발간물 편집 등을 맡긴 점을 두고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윤 전 대표가 그동안 사실상 정대협을 1인 체제로 운영해오면서 생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대협은 2013년 9월 경기도 안성에 있는 단독주택을 사들여 힐링센터로 꾸민 뒤 이듬해 1월부터 윤 전 대표의 아버지인 윤아무개씨에게 건물 관리를 맡겼다. 정대협의 후신 성격인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16일 입장문을 내고 “힐링센터에 사람이 상주하지 않아 관리가 필요했고 윤 전 대표의 아버지에게 관리를 맡겼다”고 밝혔다.
정대협은 지난 4월까지 6년 4개월 동안 윤씨에게 인건비 명목으로 모두 7500만원을 지급했다. 정의연은 “2014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기본급과 수당을 합해 월 120만원씩 지급했고, 사업이 저조해진 2018년 7월부터 지난 4월까지는 월 50만원씩 지급했다. 친·인척을 관리인으로 지정한 것은 사려 깊지 못한 일로 사과한다”고 밝혔다. 국세청 공시자료를 보면, 정대협은 2015년 힐링센터 운영비로 1912만원을 썼고, 2016년, 2017년에도 각각 1937만원과 1902만원씩 썼다. 힐링센터의 운영비 중 대부분이 윤씨의 임금으로 지급된 셈이다.
앞서 정의연은 매해 1회 발행하는 <정의기억연대신문>의 편집·디자인을 윤 전 대표의 남편인 김삼석씨가 운영한 <수원시민신문>에 맡긴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연은 이에 대해 “다른 곳과 견적을 비교한 뒤 (수원시민신문에) 신문 제작을 맡기고 노동의 대가를 지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민사회에선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지역의 한 비영리 시민단체 관계자는 “사회적 기업은 정부 인건비 보조를 받아 신규 인력을 채용할 때 가족 채용을 막기 위해 대표와의 가족 관계를 확인한다”며 “정치인의 가족, 보좌진 일자리 나눠 먹기를 비판해온 우리로선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