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시적 전력난을 겪는 북한 평양시 야경. 연합뉴스
북한의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세계 130위(2019년 기준)로 낮다. 국가별 배출량도 세계 67위(3900만t)에 그친다. 그런 북한이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 문제”라며 국제사회 일원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노력하겠다는 목소리를 냈다. 기후변화 대응을 주요 의제로 삼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정상국가의 ‘면모’를 보인 셈이다.
북한 외무성은 지난 14일 공식 누리집에 ‘외면할 수 없는 기후변화 문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인류의 장래는 세계가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처해나가는가 하는 데 달려있다” “현실은 그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기후변화를 막기 위하여 어느 때보다도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모든 나라는 눈앞의 경제적 이익만을 앞세우며 기후변화를 외면하지 말고 국제적인 협력과 협조를 더욱 강화해나가야 할 것”이라며 지구적 위기를 절절히 호소했다.
외무성은 또 북한이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 당사국으로서 “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지난해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세운 사실도 덧붙였다.
중국, 미국, 영국 등 세계 최상위 온실가스 배출국에서 기후변화 위험성을 경고한 적은 많지만, 북한이 이같은 목소리를 공개적으로 낸 것은 이례적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15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시기상으로 보면 새로 들어서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관심사에 대해 나름대로 호응하는 간접적인 메시지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내용상으로는 기후변화 문제는 전 지구적 이슈이고 파리협정은 국제적 협약이다. 국제협약을 준수한다는 메시지 속에 정상국가를 지향하는 태도가 담겨있다”고 했다.
만성적 전력난을 겪는 북한은 최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10월 북한 조선중앙방송은 ‘올해 수많은 중소형발전소 건설 및 태양광발전체계 도입 등 긴장한 전력문제해결 사업성과’를 보도했다. 앞서 북한은 2013년 ‘재생 에네르기(에너지)법’을 제정했다. 2016년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풍력과 조수력, 생물질과 태양 에네르기에 의한 전력 생산을 늘리며 자연 에네르기 이용범위를 계속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자력갱생을 앞세운 북한은 화력보다는 수력, 석유보다는 석탄을 우선시해 왔다. 에너지 정책 역시 ‘주탄종유’이다. 석탄 비중이 높고 석유 비중은 낮다. 통계청 자료(2018년 기준)를 보면, 1차 에너지 공급원은 석탄 62%, 수력 22.4%, 석유 6.7% 순이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