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5일 서울 서대문구 구세군 빌딩 스포츠윤리센터에서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왼쪽)이 이숙진 신임 이사장에게 임명장을 주고 있다. 연합뉴스
최숙현 선수 사망 뒤 스포츠 폭력 근절 방안으로 설립된 스포츠윤리센터가 출범 반년이 지나도록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최근에는 노동조합이 갑질, 폭언, 채용비리 문제를 제기하는 등 내부 혼란도 커지는 모양새다.
스포츠윤리센터가 대안으로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2019년 1월이었다. 당시 쇼트트랙 조재범 코치가 선수를 상대로 수차례 성폭력을 가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스포츠계에 만연한 폭력이 다시금 사회적 이슈가 됐다. 선수들의 인권보호를 스포츠계가 아닌 독립적인 기구에 맡겨야 한다는 지적이 일었다. 이에 2020년 2월 국민체육진흥법 일부가 개정됐고 같은 해 8월 스포츠윤리센터가 출범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체부 스포츠비리신고센터, 대한체육회 클린스포츠센터와 스포츠인권센터, 대한장애인체육회 체육인지원센터 등 4곳의 신고 및 상담 창구 기능을 통합해 스포츠윤리센터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효율성 및 창구 인지도를 높이고, 전문성 강화와 엄격하고 공정한 조사 및 징계가 목표였다.
그러나 센터는 설립 직전부터 난항을 겪었다. 2020년 7월 최숙현 선수 사망이 알려지며 여론이 들끓자, 문체부는 기존 4곳의 기구에 업무를 그대로 맡긴 채 부랴부랴 문을 열었다. 인력 충원조차 되지 않은 탓에 폭증하는 폭력 신고에 대응조차 쉽지 않았다. 센터 설립 7개월째를 맞았지만, 문체부와 인력 충원 등을 놓고 갈등을 빚는 등 아직 본격적인 활동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갑질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내홍을 겪고 있다. 지난해 12월21일, 스포츠윤리센터 바른노동조합이 이숙진 이사장의 폭언과 갑질로 많은 직원이 고통받고 있고, 팀장급 이상 직원들에게 시간외수당이 지급되지 않고 있다며 문체부, 고용노동부, 국가인권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에 진정서를 냈다. 노조는 공개채용 과정에서 기획재정부·인사혁신처 채용 관련 지침을 위반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센터 쪽은 이런 의혹들에 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하고 있지만 외부 비판에 내부 혼란까지 더해진 모양새다.
문체부의 관리 감독을 받는 구조 자체가 스포츠윤리센터의 기능을 저하시킨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박상현 박사(서울대 체육학)는 <한국체육학회지>(2020)에 실린 논문 ‘스포츠윤리센터의 설립 기대효과 분석연구’에서 △창구 일원화로 피해자 특성에 따른 차별화 대응이 제한적일 수 있는 점 △문체부를 넘어선 독립된 단체로 보기 어려운 점 △인원 부족으로 전문성 강화가 어려운 점 등을 지적했다. 그는 “독립적 기관이라면서 문체부의 관리 감독을 받는다는 건 모순”이라며 “이러한 구조로는 독립성과 전문성 제고가 어려워 보인다”고 했다.
다행히 정부 지원은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22억9천만원에서 올해 53억원으로 운영예산을 두배 이상 증액했다. 신규 채용도 늘려 인력도 지난해 25명에서 올해 40명까지 늘릴 예정이다. 센터는 지난해 9월2일부터 12월28일까지 총 384건의 신고·상담을 접수했고, 이 가운데 23건을 처리했다.
이준희 기자
givenhapp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