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보면, 법무부와 검찰 고위 간부 가운데 최대 자산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공개된 자료는 공직자들이 지난해 12월31일을 기준으로 신고한 것이어서, 사퇴한 윤 전 총장의 재산도 공개됐다.
윤 전 총장은 전년보다 2억2590만원이 늘어난 69억978만원을 신고했다. 윤 전 총장 부부가 사는 서울 서초동 주상복합아파트 가치가 전년보다 1억500만원 올랐고, 배우자가 경기도 양평 등에 보유한 임야·창고용지 등의 실거래가가 2200만원가량 올랐다. 재산의 대부분은 본인과 배우자가 소유한 예금(53억4547만원)이었는데, 전체 재산 중 윤 전 총장 앞으로 된 예금 2억2030만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배우자의 재산이다.
검찰에선 노정연 서부지검장(55억3964만원)과 이정현 대검찰청 공공수사부장(37억2323만원)이 윤 전 총장 다음으로 재산이 많았다. 노 지검장은 배우자와 본인, 자녀 명의 예금이 증가하면서 전년보다 1억8195만원이 늘었다. 조남관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 차장)은 16억3115만원,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은 11억9527만원을 신고했다.
이용구 법무부 차관(50억6696만원)은 지난해 12월부터 1월까지 인사변동이 발생한 고위공직자로 분류돼 지난 19일 관보에 재산이 미리 공개됐다. 법무부에선 신용도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이사장(42억148만원)과 한동훈 법무연수원 연구위원(37억8591만원), 심우정 기획조정실장(34억9286만원), 강성국 법무실장(34억7211만원)이 이 차관의 뒤를 이었다. 법무부와 검찰 고위 간부들의 평균 재산은 20억4129만원으로 집계됐다.
법원의 공개 대상자는 모두 144명으로, 재산 평균은 37억6495만원에 달했다. 법원 고위직 가운데 강영수 인천지법 부장판사(498억원)가 가장 재산이 많았다. 강승준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120억3361만원, 안철상 대법관이 64억634만원을 신고했다. 김명수 대법원장은 전년보다 2억2295만원이 줄어든 11억7876만원을 신고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