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전국 자영업자들의 평균 매출이 절반 이상 줄어들었고 부채 또한 평균 5000만원 이상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자영업자단체협의회 등 11개 단체가 모여 결성한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29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해 자영업자의 매출과 소득 데이터가 집계됐고 피해의 내용과 규모가 확인되고 있다. 국가재정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보상을 시행해야 한다”며 ‘코로나 1년 자영업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비대위는 지난 2월5일부터 3월25일까지 전국 자영업자 3148명에게 ‘지난 1년간 코로나19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이 중 1545명(수도권 자영업자 896명, 지방 581명, 기타 68명)으로부터 답변을 받았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 중 95.6%(1477명)가 지난해 1월20일(코로나19 발생 전) 이전보다 매출이 줄어들었다고 응답했다. 평균 매출감소비율은 53.1%였는데, 수도권 자영업자의 매출 하락률(59.2%)이 비수도권 자영업자 매출 하락률(43.7%)보다 더 높았다. 수도권에 있는 가게들이 영업시간 제한, 집합금지 조처 등과 관련해 비수도권에 있는 가게보다 강화된 방역 수칙을 적용받아온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매출이 줄어드는 동시에 부채도 늘었다. 전체 응답자의 81.4%(1257명)는 “부채가 증가했다”고 응답했고 이들의 평균 부채 증가액은 5132만원으로 집계됐다. 부채를 조달한 방법(복수 응답)은 정부정책자금을 이용했다는 응답이 48.1%(743명)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제1금융권 47.1%(727명) △친척 및 지인 31%(479명) △제2금융권 16.2%(250명) △카드사 15.9%(246명) 등을 이용했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매출 감소는 고용감소로도 이어져 전체 응답자의 평균 고용인원은 코로나19가 시작되기 전 4명이었지만, 2.1명으로 줄어들었다.
응답자 중 44.6%(689명)는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 중 20.6%(142명)는 1~3개월 이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49.3%(340명)는 ‘1년 이내’에, 24.4%(168명)는 ‘3~6개월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비대위는 “현 상황이 1년 더 지속될 경우 절반 가까운 자영업자의 생존이 어려울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한 피해 지원 방안을 묻는 말(복수 응답)에는 손실보상이 77.9%(1204명)로 가장 선호하는 방안으로 지목됐다. 이외에 임대료 지원(57.9%·894명), 보편지원 (15.6%·241명)도 주요 방안으로 언급됐다. 특히 손실보상의 소급적용 여부를 놓고선 90.9%(1404명)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비대위는 “이 상황이 계속된다면 자영업 생태계가 붕괴하는 상황이 곧 도래하게 될 것”이라며 서울시장 후보자들을 상대로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적용 △자영업자 교육비·의료비·임차료 세액공제 △임시근로자(아르바이트)에 대한 고용·산재 보험의 4대 보험 분리 적용 등을 요구했다.
폐업 고려 중인 자영업자들의 폐업 예상 시한. 비대위 제공.
장필수 기자
fee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