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설 국민청원, 나도 올려볼까?

등록 2018-02-19 09:54수정 2018-02-19 10:01

[향이네 식탁]
최근 소셜네트워크 빙글(vingle)을 보다가 재밌는 글을 발견하고는, 한국에 대한 외국인의 한 가지 공포(?)를 알게 됐어요. ‘한국에서는 태어나자마자 한 살이에요’(Koreans add a year as soon as babies are born).

‘미드에 겁나게 나온다는 단골표현 600개’란 제목의 글 안에 있더이다. 그저 배시시 웃었어요. 한국식 나이 셈법이 외국인들에겐 신기하거나 황당하거나 심지어 무섭기까지 한 듯해 웃음이 났죠.

그걸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에서 보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불편한 나이 셈법을 만 나이로 통일합시다’ ‘한국식 나이 폐지’ 등 120개 넘는 청원들이 올라와 있더군요. 살짝 웃다가 청원 이유를 읽고는 고개를 끄덕였어요. 익숙했던 그 셈법엔 다소 심각한 사회적 마찰이 숨어 있더군요. 나이에 집착하게 해 ‘꼰대문화’ ‘서열지상주의’를 조장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시대에도 맞지 않는다’는 의견들은 지나친 과장이나 경계로 보이지 않았어요.

예전 대기업에서 외국계 기업으로 이직한 이의 경험담이 생각났습니다. 첫 회사 행사에서 아무도 나이, 전공 등을 묻지 않더라는 겁니다. 대신 취미, 많이 다닌 여행지, 최근 본 영화 등만 물어 다소 당황했다고 했어요. 그도 처음 만난 동료를 파악하기 위해선 상대의 얘기에 더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요. 결과적으로 더 친근해졌고, 이후 업무를 분담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됐다고 해요.

이렇게까지 생각이 미치자 국민청원 누리집을 더 살피게 됐어요. 중요한 국가적 사안에 대한 청원도 있지만 피식 웃게 하는 위트 넘치는 것들도 많더이다. 며느리를 명절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달라는 취지의 청원도 발견했어요. 설 연휴를 맞아 ESC가 생활형 박장대소 청원들을 모아봤습니다. 독자님도 고소한 전 한 점 드시면서 ‘나라면 어떤 청원을 해볼까’ 한번 생각해보시죠.

박미향 팀장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