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딱 한 입만 줄래?…코로나19 시대 사라진 식문화

등록 2020-05-15 11:16수정 2020-05-15 11:48

[마이클 부스의 먹는 인류]

코로나19가 부른 혼밥 문화

이전에도 이미 혼밥 즐긴 나

한국과 일본의 밥 문화 비교해보니
혼밥은 일본, 여럿이 먹는 건 한국

내 욕구대로 모든 게 가능한 식사
‘슬기로운 혼밥 생활’ 시대 열려

오늘 밤 외로우신가요? 적적한가요? 쓸쓸한가요? 뭐, 그렇다고 한들 그게 뭐 그렇게 나쁜 건가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만든 격리의 시대를 맞이하여 얼마나 많은 사람이 혼자 집에서 밥 먹는 법을 배우려고 고군분투 중일지 상상이 간다. 이 사태가 언제 끝날지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말이다.

지금보다 행복했던 시절, 그때도 난 웬일인지 혼자 레스토랑에 가는 게 아무렇지도 않고 행복했다. 사실 혼자 가는 것을 더 선호한 편이었다. 같이 식사하러 간 사람들을 관찰하고 그들의 행동을 분석하고, 옷차림으로 암호 해독을 해 그들의 삶을 상상하는 것은 정말이지 피곤하기 짝이 없는 일이니까. 혼자 가면 적어도 그 시간을 온전히 나의 것으로 쓸 수 있으니까.

그리고 레스토랑이 텅 비어 있을 때 내 곁에는 언제나 그 순간을 위해 준비한 책이 있었다. 그 책 때문에 휴대전화에서, 그리고 휴대전화 액정에서 뿜어져 나오는 끔찍한 빛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모바일 기기 액정에서 나오는 불빛은 레스토랑의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얼굴 밑에서 올라오는 시퍼렇고 핏기 가신 불빛은 액정을 들여다보고 있는 손님들 얼굴을 공포영화에 나오는 희생자처럼 보이게끔 했다.)

난 코로나19 시대가 열리기 전에도 내 직업 특성상 전 세계 레스토랑에 가서 혼자 밥 먹었던 경험이 꽤 많다. 그랬기 때문에 난 누구든 레스토랑에 가서 혼자 먹는 일이 아무렇지도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 깨달은 바가 있다. 저녁 시간에 당당히 혼자 레스토랑 문을 열고 들어가 정찬을 먹는 일은 나라에 따라, 지역에 따라 그 느낌이 꽤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혼밥을, 그것도 저녁 혼밥을 먹는다는 것은 한국에선 그다지 통하지 않는 일 같았다. 출간할 책을 쓰기 위해 자료 조사 차원에서 한국에 머문 적이 있다. (기대하시라. 한국에 있는 동안 난 한국의 동서남북을 다 헤집고 다녔고 새 책에 고스란히 담았다.) 그런데 내가 부산에 갔을 때든, 속초에 있을 때든, 광주든 서울이든 관계없이 한국의 어떤 식당에 들어가도 같은 경험을 했다. 내가 “자리 있냐”고 물으면 웨이터(웨이트리스도 마찬가지로)가 예외 없이 내 어깨너머를 훔쳐보고는 ‘동행인은 어디 있냐’는 표정을 짓곤 했다. 혼자, 그것도 저녁 시간에 당당하게 제대로 된 식사를 할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당신네, 한국인들의 머릿속에는 없는 것 같더라. 문전박대당한 곳은 한 군데도 없지만 말이다.

이제는 이해한다. 한국인들은 정말 전 세계가 다 알 정도로 사회적인 사람들이다. 일본인들은 좀 다르다. 일본 사람들은 혼자 저녁을 먹을 때 가장 행복해 보인다. 어쩌면 같이 먹는 것보다 혼자 먹는 걸 더 좋아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 결과 일본의 음식점들은 혼밥족들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다. 지구 상에 혼자 저녁 먹으러 온 사람들을 위한 레스토랑이 일본보다 더 잘 마련된 나라는 없을 것 같다. 초밥집 카운터든, 라면 전문 체인점의 스툴(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서양식 작은 의자)이든, 하다못해 가이세키 음식들까지도 혼자 식사를 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구성이 제대로 갖춰져 있다.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니다. 그 누구도 ‘저 사람은 왜 혼자 밥 먹으러 온 것일까’라는 상상의 나래를 펼치지 않는다. 여러 명과 온 이와 똑같이 친절한 응대를 받는다. 주문이 후순위로 밀리는 일 없이 섬세한 배려도 받는다. 그리하여 똑같이 맛있는 음식을 먹게 될 것이다.

영국에서도 혼밥의 인기는 늘어나고 있다. 레스토랑 예약 웹사이트인 오픈테이블에 따르면 1인석을 예약하는 건수가 2014년 이후 지금까지 160%나 증가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트렌드는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 이탈리아를 여행하다 작은 트라토리아에 들어갔을 때다. 물론 혼자였다. 나는 식당에서 가장 어두침침한 구석자리에 배정받았다. 스페인에서 타파스를 먹으러 갔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타스카에 가든, 메손에 가든 그 어떤 타파스 바에 가도 ‘나 홀로’를 반겨주는 곳은 없었다. 타파스는 알폰소 10세가 백성들한테 빈속에 와인을 먹지 말라고, 꼭 요깃거리부터 먹어 속을 보호하라고 아예 법으로 못 박아서 생긴 배려의 음식이라던데, 배려는커녕 화장실 앞 구석 자리에서, 입구 근처에 앉아서 누가 들어올 때마다 찬바람 맞으며 먹었던 기억이 있다. 몇 시간씩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는 내 음식, 내 물, 내 계산서를 찾아 결국 웨이터 앞에 서서 ‘나 여기 있노라’고 알려주곤 해야 했다.

저녁 혼밥이 어째서 일본에서는 매우 일반적인 일로 받아들여지는 것일까? 일본인들은 한국인들보다 겉으로나마 자신만만하고 행복한 것인가? 아니면 더 고립되고 외로운 것일까? 난 아마도 둘 다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레스토랑에서 혼자 밥을 먹다 보면 어딘지 겸연쩍다는 생각이 드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나도 <미쉐린 가이드> 별이 반짝이는 비싸고 고상한 프렌치 레스토랑에 갈 때면 그렇다. 아마도 레스토랑 측에서 ‘호스피탈리티·접객 서비스’를 고민하던 끝에 이상한 해석을 내린 결과일 것 같은데, 어떤 셰프들은 레스토랑 홀을 고요하다 못해 침울한 분위기로 세팅하는 것을 선호하는 듯하다. 레스토랑에 온 손님들이 자기네가 만든 음식을 경건한 마음으로 찬양할 수 있도록 하니까. 그런 곳은 아무리 나라도 참기 힘들어서 혼자 가는 것을 되도록 피하려 한다.

나는 혼밥을 좋아한다. 다른 사람 눈치 안 보고 먹고 싶은 것을 실컷 주문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촌스럽다는 둥, 고기 먹을 줄 모른다는 둥, 이러쿵저러쿵하는 말을 안 들어서 좋다. 남들이랑 있을 때는 차마 하지 못했던 말도 한다. “스테이크 웰던으로 바싹 구워주세요!” 디저트를 두 개 주문한다든가, 와인을 반병만 시킨다든가, 눈치 안 보고 한다. 이런 일은 사실 전부 당신 혼자만을 위한 주문이다. 얼마나 큰 축복인가! 게다가 누가 먹는 것을 하염없이 바라볼 필요도 없다. 자기 식사가 끝나면 동행한 다른 사람이 접시를 비울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바로 식후 커피를 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좋은 것은 누가 맛만 보자며, 딱 한 입만 달라며 당신이 주문한 음식을 대놓고 훔쳐 먹는 꼴을 안 봐도 되는 것이다. 그런 사람이 보통 한입으로 끝나는 상식적인 경우는 별로 보지 못했다. 내 접시에서 이제 그만 손 떼!

글 마이클 부스(푸드 저널리스트), 일러스트 이민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