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와 도쿄올림픽 엠블렘을 섞어 만든 한 일본의 커버 디자인. 도쿄/AP 연합뉴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도쿄올림픽 취소 가능성을 처음 언급하면서 올림픽 개최가 안갯 속에 빠졌다.
<로이터>는 토마스 바흐 위원장이 영국 <비비시>(BBC)와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로 인해 도쿄올림픽이 내년에도 열리지 못할 경우, 대회를 취소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21일(한국시각) 전했다. 바흐 위원장이 도쿄올림픽 취소 가능성을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보도를 보면, 바흐 위원장은 인터뷰에서 “솔직히 말해 조직위원회가 3000명 혹은 5000명을 영구적으로 고용하고 있을 순 없다. 나는 이 점을 이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전 세계 주요 연맹의 모든 스포츠 일정을 매년 바꿀 순 없다. 선수들을 불확실한 상황에 둘 순 없다”고도 덧붙였다.
바흐 위원장은 내년 올림픽 개최를 위해 최선을 다하면서도, 다양한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2021년 7월23일 세계가 어떤 모습일지를 확실히 알 수 있을 때 적합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1년 7월23일은 1년 미뤄진 도쿄올림픽 개막일이다.
앞서 국제올림픽위원회는 일본 정부와 2020년 7월24일 개막 예정이던 도쿄올림픽을 1년 뒤로 미루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가라앉지 않으면서 도쿄올림픽 취소 가능성이 계속 제기됐다.
일본에서는 이미 올림픽 개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크다. 일본 <마이니치신문>은 “도쿄올림픽 개최는 망상에 가깝다”고 비판했고, 복수 언론이 올림픽을 취소하고 관련 예산을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써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전문가들의 전망도 비관적인데, 기타무라 요시히로 나가노 보건 의료대학 특임 교수는 라디오 방송에서 2021년 올림픽 개최 가능성에 대해 “0%”라고 답하기도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3일 마스크를 쓴 채 일본 참의원 본회의에 참석한 모습. 도쿄/AP 연합뉴스
비판 여론과 코로나19 확산세에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곤란한 눈치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29일 참의원에 나와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올림픽을) 완전한 형태로 개최할 수 없다”면서 “인류가 코로나19를 이겨낸 증거로 대회를 개최해야 하는데, 그런 상황이 아니면 대회를 열기 어렵다”고 말했다. 개최 강행을 주장하던 기존 입장에서 물러선 것이다.
만약 도쿄올림픽이 취소되면, 일본은 수조원에 이르는 경제적 손실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스포츠 경제학자 마야모토 가쓰히로 간사이대학 명예교수는 도쿄올림픽 1년 연기로 발생하는 손실액이 6408억엔(약 7조3984억원)에 이른다는 추산치를 발표했다. 만약 올림픽이 취소된다면 연기 비용에 더해 수조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준희 기자
givenhapp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