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인간과동물

호랑이 삼키는 도로, 핵심 서식지 60% 위협

등록 2020-05-06 17:51수정 2020-05-06 18:35

[애니멀피플]
서식지 주변에 13만㎞…로드킬, 밀렵꾼 유입, 먹이 감소 유발
지난 2월 15일 러시아 연해주의 한 고속도로에서 버스에 부닥친 어린 호랑이가 도로에 누워있다. 충돌 부상으로 수의사가 온 직후 숨졌다. 아무르호랑이 센터 제공.
지난 2월 15일 러시아 연해주의 한 고속도로에서 버스에 부닥친 어린 호랑이가 도로에 누워있다. 충돌 부상으로 수의사가 온 직후 숨졌다. 아무르호랑이 센터 제공.

2월 15일 러시아 연해주 고골레프카 마을 고속도로에서 아무르호랑이(백두산호랑이) 한 마리가 도로를 뛰어 건너다 버스에 치여 죽었다. 4∼5달 나이로 반드시 어미가 데리고 다닐 나이인데 왜 홀로 고속도로를 건넜을까. 어미는 밀렵 됐을까. 의문은 풀리지 않고 있지만, 도로가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호랑이의 중요한 위협임을 보여준 사고였다.

러시아와 미국 연구자들은 2008년 ‘동물학 저널’에 실린 논문에서 1992∼2005년 원격 추적 장치를 단 아무르호랑이 24마리를 조사했더니 자연사한 4마리를 뺀 20마리가 사람과 관련한 원인으로 죽었다고 밝혔다. 확실한 밀렵이 10마리, 밀렵 의심이 8마리였고, 자동차와 충돌이 2마리였다. 밀렵이 압도적인데, 밀렵이 가능하게 된 주요 이유는 도로가 뚫려 외딴 지역까지 밀렵꾼이 쉽게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버스와 부닥치기 직전 고속도로로 뛰어든 어린 호랑이 모습. 왜 어미가 돌보지 않았는지는 수수께끼다. 아무르호랑이 센터 제공.
버스와 부닥치기 직전 고속도로로 뛰어든 어린 호랑이 모습. 왜 어미가 돌보지 않았는지는 수수께끼다. 아무르호랑이 센터 제공.

인도와 동남아의 다른 호랑이 아종의 처지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인도에서 2015∼2017년 사이에만 자동차와 충돌해 죽은 벵골호랑이는 적어도 10마리에 이른다.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도로가 건설되는 지역이고, 호랑이 보호구역도 예외가 아니다.

닐 카터 미국 미시간대 교수 등은 세계 13개국에 있는 호랑이의 핵심 서식지 116만㎢를 대상으로 도로의 위협을 평가했다.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스’ 4월 29일 치에 실린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도로에서 5㎞ 이내여서 직·간접 영향을 받는 서식지가 전체 면적의 57%에 이른다”며 정책당국의 대책을 촉구했다.

세계 호랑이 서식지의 도로 밀도(m/ ㎞). 짙은 색일수록 밀도가 높다. 아래 그래프는 보호구역 안(옅은 색)과 밖의 도로 밀도. 카터 외 (2020) ‘사이언스 어드밴스’ 제공.
세계 호랑이 서식지의 도로 밀도(m/ ㎞). 짙은 색일수록 밀도가 높다. 아래 그래프는 보호구역 안(옅은 색)과 밖의 도로 밀도. 카터 외 (2020) ‘사이언스 어드밴스’ 제공.

연구자들은 “호랑이의 핵심 서식지를 위협하는 도로만도 13만4000㎞에 이르며 이로 인해 호랑이와 그 먹이의 20%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호랑이 서식지와 도로 사이의 거리는 평균 3.9㎞에 불과했다. 호랑이 번식지의 43%도 도로 영향권으로 조사됐다.

도로가 호랑이에 끼치는 악영향은 교통사고만이 아니다. 도로는 서식지를 단절시켜 섬처럼 만든다. 외딴곳에 임도 등 도로가 뚫리면 밀렵꾼의 접근이 쉬워져 호랑이와 그 먹이 동물이 줄어들고 빛과 소음 공해가 늘어난다.

네팔의 동-서 고속도로는 여러 호랑이 서식지를 관통한다. 편도 1차선의 도로를 확장할 계획이 나와 있다. 닐 카터 제공.
네팔의 동-서 고속도로는 여러 호랑이 서식지를 관통한다. 편도 1차선의 도로를 확장할 계획이 나와 있다. 닐 카터 제공.

호랑이의 생존에 꼭 필요한 지역이 모두 보호구역으로 관리되는 것은 아니다. 연구자들은 보호구역으로 묶이지 않은 곳에서 도로가 보호구역에서보다 평균 34% 더 촘촘하게 나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는 개발압력이 커 2017∼2020년 사이 도로가 2배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자들은 “앞으로 30년 동안 호랑이 서식지에 건설될 도로는 총 2만4000㎞로 추산된다”며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 투자가 이런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 호랑이 서식지의 16%를 차지하는 인도에서는 현재보다 32% 늘어난 1만4500㎞ 길이의 도로가 서식지 영향권에 건설될 예정이다. 인도보다 면적은 작지만, 네팔과 부탄도 현재보다 40% 이상 늘어난 각각 880㎞와 609㎞의 도로를 호랑이 서식지에 건설할 계획이다.

네팔 치트완 국립공원의 호랑이. 이 국립공원은 동-서 고속도로에 인접해 있다. 닐 카터 제공.
네팔 치트완 국립공원의 호랑이. 이 국립공원은 동-서 고속도로에 인접해 있다. 닐 카터 제공.

연구자들은 “호랑이 서식지 곳곳에 뚫리는 도로는 호랑이 복원에 걱정스러운 경고 신호”라며 “도로를 건설할 때 정책결정자는 무엇보다 야생동물 집단에 끼칠 악영향을 줄이는 방안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용 저널: Science Advances, DOI: 10.1126/sciadv.aaz9619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누워서 하늘로 오줌 쏘는 분홍돌고래…영역 표시일까 놀이일까 1.

누워서 하늘로 오줌 쏘는 분홍돌고래…영역 표시일까 놀이일까

온난화로 따뜻해진 도시, ‘서울쥐’에겐 천국 2.

온난화로 따뜻해진 도시, ‘서울쥐’에겐 천국

인도네시아 열대어, 통영 앞바다까지 올라왔다 3.

인도네시아 열대어, 통영 앞바다까지 올라왔다

[웹툰] 세수는 하고 산책하는 거야? 4.

[웹툰] 세수는 하고 산책하는 거야?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5.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