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날지 못하는 반딧불이가 주는 한여름밤 감동

등록 2007-07-20 17:57

<날지 못하는 반딧불이>
<날지 못하는 반딧불이>
읽어보아요 / <날지 못하는 반딧불이>

장애인 이야기를 다루는 동화는 그다지 드물지 않다. 하나의 소재 군으로 따로 분류될 수 있을 정도로 풍성하다고나 할까. ‘우리와 다른’ 존재에 대해서 이해하고, 어울려 살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한 교육적 배려를 읽을 수 있는 현상이다. 그런 배려 위에 문학적 감동이나 아름다움까지 덧입고 있는 작품을 대할 때의 반가움은 각별하다. <날지 못하는 반딧불이>(오자와 아키미 글·김동성 그림·김숙 옮김/비비아이들·9000원)처럼. 아름다운 한여름 밤의 정취를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반딧불이를 장애인이나 집단 따돌림 문제와 연결시킨 발상이 신선한데, 교사였던 작가의 실제 체험에서 나온 진심이 배어 있어 이야기는 더 곡진해진다.

항구마을 논이랑에서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는 반딧불이 무리들. 그런데 그 중 마리가 날개가 뒤틀려 날지 못한다. 그 날지 못하는 반딧불이의 슬픔과 기쁨, 절망과 희망, 친구 반딧불이들의 안타까움과 도움에 관한 이야기가 인간의 장애 문제와 겹치면서 잔잔하게 펼쳐진다. 잡힐 위기에 처한 날지 못하는 반딧불이 대신 스스로 아이들의 손 안으로 뛰어드는 친구 반딧불이. 걷지 못하는 동생에게 보여주기 위해 반딧불이를 잡아 가는 아이. 잡혀온 반딧불이를 기다릴 가족과 친구 생각에 돌려보내주는 동생. 곱고 뭉클하다.

어떻게 보면 지나치게 감상적일 수도 있는 이 하늘하늘한 이야기에 밀도 높은 존재감을 주는 것은 일러스트다. 보석처럼 윤기 흐르는 깊은 초록색과 파랑색, 부드러운 검은색의 조화가 강력한 메시지에 날려갈 수도 있었을 이야기를 꼭 붙들어준다. 밤이 주요 무대라 동물과 인물을 거의 대부분 실루엣으로 처리하는데, 옅거나 짙은 그림자만으로도 반딧불이와 인간의 섬세한 감성을 섬세하고 다양하게 잡아낸다. 제 손등에 날아와 앉은 반딧불이를 놀랍다는 표정으로 바라보는 아이의 검은 옆모습과 그 뒤로 펼쳐지는 갯버들 가지들의 얽힌 모양새가 담겨 있는 페이지를 보자. 그 한 장면만으로도 이 책은 충분히 소장할 만하다. 주제와 메시지를 떠나서라도, 반딧불이 날아다니는 아름다운 여름밤 안으로 들어선 듯한 청량감만으로도 권할 만하다. 초등 전학년.

김서정/중앙대 문예창작과 겸임교수, 동화작가 sjchla@hanmail.net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