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재계 8위인 한화그룹이 총수일가 일감몰아주기 해소에 초점을 맞춘 자발적인 개혁안을 곧 내놓는다. 재계 2위 현대차그룹에 이어 한화까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추진하는 재벌의 자발적 변화 유도정책에 호응하면, 5대 재벌 가운데 유일하게 개혁안을 내놓지 않은 삼성에 대한 압박이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1일 한화와 공정위의 말을 종합하면, 한화는 4~5월 중에 자발적 개혁안을 발표하기 위해 막바지 검토를 하고 있다. 한화 고위임원은 “연초에 개혁안을 내놓을 계획이었으나 지난해말 세무조사 때문에 일정이 늦어졌다”며 “4~5월에 개혁안을 내놓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개혁안은 그동안 제기됐던 (총수일가) 일감몰아주기 논란 해소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한화에스앤씨 지분 추가매각, 계열사 간 합병과 상장을 종합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개혁안은 한화가 지난해 10월 한화에스앤씨를 에이치솔루션(존속법인)과 한화에스앤씨(신설법인)로 물적분할한 뒤 에이치솔루션이 보유한 한화에스앤씨 지분 가운데 45%를 외부에 매각해 공정거래법상 총수일가 사익편취 규제 대상에서 빠진 것에 이은 후속대책 성격이다. 김동관 한화큐셀 전무 등 김승연 회장의 세아들이 100% 지분을 보유했던 한화에스앤씨는 그룹의 전산서비스를 독점하면서 일감몰아주기 지적을 받아왔다. 한화 고위임원은 “정부의 일감몰아주기 규제 강화 여부와 상관없이 한화에스앤씨의 일감몰아주기 논란을 완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화는 이런 내용을 이미 공정위에 전달했다. 공정위 고위 관계자는 “한화가 개혁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안다”고 확인했다. 한화가 개혁안을 서두르는 것은 김상조 위원장이 자발적 개혁안 발표 시한으로 제시한 3월을 이미 넘긴데다, 공정위가 지난달 한화에스앤씨의 일감몰아주기 혐의와 관련한 3차 현장조사를 벌이는 등 발걸음을 빨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김상조 위원장 취임 이후 공정위의 재벌조사가 대부분 총수일가에 대한 검찰고발로 이어졌다”며 “검찰수사가 일단 시작되면 그룹 전반의 부정·비리 혐의로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도 부담”이라고 말했다. 부영은 공정위가 지난해 계열사 지분현황 허위신고 혐의로 고발한 뒤 이중근 회장이 검찰수사를 받게 되면서 결국 구속됐다.
시장에서는 한화가 경영승계를 위해 3세 지분이 100%인 에이치솔루션과 그룹의 사실상 지주회사 역할을 하는 ㈜한화를 합병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으나, 한화는 그 가능성을 일축했다. 한화 임원은 “합병을 한다면 3세의 지분 확보가 목적일텐데, 에이치솔루션의 규모가 ㈜한화의 10%도 안되기 때문에 안정적 지분 확보가 불가능하다”며 “개혁안은 경영권 승계와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김상조 위원장의 자발적 개혁 요청에 호응한 재벌은 현대차·에스케이·엘지·롯데 등 10개에 달하고, 한화까지 동참하면 11개로 늘어난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