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군인들이 사열해 있다. 대만 국방부 누리집 갈무리
대만 정부가 미국의 압력과 건의로 ‘징병제 1년’을 부활시키기로 결정했다고 대만 매체가 보도했다.
대만 매체인 <중국시보>는 28일 군 소식통을 인용해, 차이잉원 총통의 대만 정부가 미국의 압력과 건의를 받아들여 징병제 1년을 부활시키기로 했으며, 부활 시점은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미국은 대만에 ‘자주국방의 의지를 보여주기엔 4개월의 군사훈련 기간이 너무 짧다’며 ‘예비전력 강화와 함께 복부기간을 연장하도록 요구했다’고 <중국시보>는 전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일주일 뒤인 지난 1일 마이크 뮬런 전 합참의장, 메건 오설리번 전 국가안보부보좌관 등 5명의 안보 관련 전직 고위 인사들을 대만으로 보냈다. 이들은 차이잉원 총통과 추궈정 국방부 장관을 만나는 등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비공식 특사 역할을 했다.
대만은 2018년 징병제 1년을 폐지하고, 4개월 군사훈련만 받도록 했다. 징병제 국가에서 사실상 모병제 국가로 전환한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중국의 대만 침공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징병제 복귀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지난 23일 추궈정 국방부 장관은 대만 입법원(국회) 외교·국방위원회에 출석해 “군 의무복무 기간 연장과 관련한 초안을 조속히 내놓겠다”고 말했다. 차이잉원 총통도 지난 14일 국방부에 현행 ‘4개월의 군사훈련’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
▶관련 기사 :
징병제 사실상 폐지한 대만, 우크라 전쟁에 4년만에 회귀?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3609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