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현장인 충남 연기군 남면 일대의 모든 간판과 안내판 등에서 수정액이나 청테이프 (점선 안)등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 ‘행정도시’ ‘행복도시’라는 용어가 가려졌다. 사진은 한 생활권 공사현장 안내판. < 중도일보> 제공
추석뒤 안내판·펼침막 등서 지우거나 가리고 ‘세종시’로
“토지주택공사, 건설업체에 용어계속 쓰면 불이익 경고”
“토지주택공사, 건설업체에 용어계속 쓰면 불이익 경고”
정부·여당 안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기업·대학 도시 등으로 변경하려는 움직임이 구체화한 가운데, 행정도시 건설 현장인 충남 연기군 일대에서 ‘행정도시’라는 단어가 일제히 사라졌다.
14일 충남 연기군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추석 연휴가 끝난 뒤 행정도시 건설 현장인 충남 연기군 일대의 공사 안내판이나 펼침막 등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 ‘행정도시’ ‘행복도시’라는 단어가 지워지거나 녹테이프 등으로 가려져 모두 사라졌다.
대전에서 행정도시로 진입하는 국도 1호인 남면의 금강대교 인근에 선 간판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단어가 지워졌고, 연기군 조치원 읍내로 들어오는 종촌 일대의 안내판에서도 ‘행정도시’ ‘행복도시’ 등의 표현이 녹테이프로 가려졌다. 공주시 장기면에서 들어오는 밀마루 전망대 근처의 공사현장 안내판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행정도시 건설에 참여한 건설사들은 “지난 5일 추석 연휴가 끝나자마자 토지주택공사가 각 건설사에 ‘행정도시’라는 용어의 사용을 자제하라고 권고했으며, 이 용어를 계속 사용하면 시행능력 평가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토지주택공사 세종시기획처 관계자는 “두 공사가 합쳐 새로 출범해 로고와 조직 이름을 바꾸면서 ‘행복(행정)도시’를 ‘세종시’로 모두 바꿨다”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일이며 사업 내용 변경과는 관계없다”고 밝혔다.
대전/ 손규성 기자 sks2191@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