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김한길 원내대표
열린우리당 김한길 원내대표가 31일 "북핵실험 후 비상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안보.경제 위기관리 체제로서의 내각이 필요하다"며 "대통령은 남은 임기 동안 여기(안보.경제)에 집중해 총력을 기울이시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을 놓고 당내에서 해석이 분분하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 대책회의에서 시종 굳은 표정으로 준비된 메모를 읽어 내려가 작심한 발언이란 인상을 줬다.
문제는 김 원내대표의 발언이 `위기관리 체제로서의 내각'에 방점을 찍은 것인지, 아니면 대통령에게 `안보.경제 위기 극복 등 국정현안에 전념해 달라'고 한 대목에 무게를 둔 것인지를 놓고 해석이 엇갈리고 있는 것.
우선 '위기관리 체제 내각' 주문과 관련, 외교안보라인 개각에서 논란이 될 수 있는 몇몇 특정인사를 배제해 달라는 '코드인사 배제' 요구를 우회적으로 거론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한 발짝 더 나아가 김 원내대표의 발언이 거국내각이나 중립내각을 구성해야 한다는 주문이 아니냐는 풀이까지도 나왔다.
한나라당 나경원 대변인은 논평에서 "한나라당의 안보내각 요구에 정쟁이라고 덮어씌웠던 열린우리당이 이제라도 이런 제안을 한 것은 다행이지만 청와대가 물망에 올리는 인사로는 `안보해제 내각'이 될 것"이라며 "여당이 국정운영 공동책임자로서 책임을 청와대에 은근슬쩍 미루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노웅래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는 국회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김 원내대표의 발언이 비상내각, 거중내각, 중립내각 식으로 확대 해석되지 않았으면 한다"면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외교.안보) 부처가 위기관리체제로 운영돼야 한다는 말이며, 중요한 것은 대통령이 안보와 경제에 집중해 달라는 것"이라고 밝혀 김 원내대표 발언의 초점이 `국정현안 집중'에 있음을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 측근도 "외교안보라인 교체가 목전에 닥쳐왔는데 특정 인사나 자리를 놓고 이러쿵 저러쿵 얘기하면 결국은 `김병준 파동'의 재탕이 되지 않겠느냐"며 "인사문제는 원론적인 얘기를 한 것일 뿐 대통령의 인사권에 개입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원내대표가 노무현 대통령에게 안보와 경제 등 국가적 현안에 집중해줄 것을 주문한 것을 놓고 청와대가 정계개편 등 정치현안에 개입하려 해서는 안된다는 메시지를 우회적으로 던진 것이란 해석이 유력하다. 여당이 청와대와 결별 수순을 밟겠다는 신호탄이 아니냐는 적극적인 풀이도 나왔다. 이와 관련, 김 원내대표측은 "안보와 경제에 집중하고 총력을 다해 달라고 했는데 비록 말은 하지 않았지만 그 속에 숨어있는 문장은 정치적 현안에 개입하지 말아달라는 주문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노 대통령의 `민주당과의 통합 불가' 입장이 확고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중량급 인사들이 포진한 정무특보단이 구성되고 친노 그룹의 노사모 재건 움직임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감안, `통합신당이나 정계개편 논의는 여당이 주도적으로 해나갈 테니 맡겨달라'는 메시지를 던졌다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의 발언이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즉 외교안보라인 개각에서는 널리 인재를 구해서 드림팀을 짜는 광폭 개각을 주문하는 한편, 정치현안에는 개입하지 말아줬으면 하는 당내 기류를 한꺼번에 전했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김 원내대표 발언에 대해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윤태영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김 원내대표 언급에 대해 청와대가 얘기할 사항이 아니다"며 "의견을 얘기한 것으로 생각한다"는 원론적으로만 답변했다. 한편 김 원내대표의 이날 발언과 관련, 노웅래 공보부대표는 "김 원내대표가 사전에 당 의장 등 지도부와 의논했고 다수의원의 의견도 반영된 것으로 안다"며 "김 대표는 여러 경로를 통해 대통령에게 당의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맹찬형 기자 (서울=연합뉴스)
김 원내대표가 노무현 대통령에게 안보와 경제 등 국가적 현안에 집중해줄 것을 주문한 것을 놓고 청와대가 정계개편 등 정치현안에 개입하려 해서는 안된다는 메시지를 우회적으로 던진 것이란 해석이 유력하다. 여당이 청와대와 결별 수순을 밟겠다는 신호탄이 아니냐는 적극적인 풀이도 나왔다. 이와 관련, 김 원내대표측은 "안보와 경제에 집중하고 총력을 다해 달라고 했는데 비록 말은 하지 않았지만 그 속에 숨어있는 문장은 정치적 현안에 개입하지 말아달라는 주문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노 대통령의 `민주당과의 통합 불가' 입장이 확고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중량급 인사들이 포진한 정무특보단이 구성되고 친노 그룹의 노사모 재건 움직임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감안, `통합신당이나 정계개편 논의는 여당이 주도적으로 해나갈 테니 맡겨달라'는 메시지를 던졌다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의 발언이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즉 외교안보라인 개각에서는 널리 인재를 구해서 드림팀을 짜는 광폭 개각을 주문하는 한편, 정치현안에는 개입하지 말아줬으면 하는 당내 기류를 한꺼번에 전했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김 원내대표 발언에 대해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윤태영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김 원내대표 언급에 대해 청와대가 얘기할 사항이 아니다"며 "의견을 얘기한 것으로 생각한다"는 원론적으로만 답변했다. 한편 김 원내대표의 이날 발언과 관련, 노웅래 공보부대표는 "김 원내대표가 사전에 당 의장 등 지도부와 의논했고 다수의원의 의견도 반영된 것으로 안다"며 "김 대표는 여러 경로를 통해 대통령에게 당의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맹찬형 기자 (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