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 인터뷰] 민주당 패배 이후 ⑤
박상천 통합민주당 공동대표는 24일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민주당이 경제 성장을 촉진해 일자리를 만드는 데 별 관심이 없는 정당이라는 오해를 불식시키고, 동시에 실현 가능한 진보적 정책을 내놓는 정당이라는 점을 인식키는 것이 차기 대표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그러나 박 대표는 “당권에 도전할 생각이 없다”며 전당대회 불출마 뜻을 밝혔다.
4·9 총선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나.
=중간 정도의 성적을 거뒀다. 불과 4개월 전 대선에서 530만표를 진 정당으로서는 81석이면 많이 얻었다. 그렇지만 항상 서울에서 1등한 정당으로서 서울을 잃은 게 안타깝다.
공천 과정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많다. 특히 비례대표 후보 공천이 계파 몫 나눠먹기 식으로 됐다.
지역구 공천에서는 원 민주당(옛 민주계)이 피해를 봤다. 통합할 때 지역구에서 11명을 전략공천하기로 한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 그래서 비례대표 공천에서는 1~15번에 남녀 2명씩, 16~20번에 남녀 1명씩 옛 민주계가 추천한 사람을 공천하기로 했다. 통합을 엊그제 했는데, 이런 정치적 약속을 한 게 잘못은 아니다.
중도개혁 노선을 주장하는데 구체 내용은?
=경제 성장과 소외 계층 보호를 함께 추구하는 정책 노선으로, 미국 민주당의 개혁 성향 중도주의와 궤를 같이 한다. 평등을 최우선 가치로 하는 전통적 진보 노선은 수정이 불가피하다. 세계화 시대에서 경제 경쟁을 위해서는 평등 요소와 함께 경쟁 요소를 강조할 수 밖에 없다. 노무현 정권이 추구하던 평등 우선 노선이 결과적으로 경제 성장을 소홀히 해 일자리 창출에 실패했고 서민경제 파탄을 가져왔다. 노무현 정권 5년을 지나면서 국민 대다수에게 그렇게 인식돼 있다.
노무현 정부가 경제 정책에서는 오히려 신자유주의적이라는 평가도 많은데.
=난 동의하지 않는다. 평등 우선 정책을 쓰겠다고 공언을 했고, 사회적 일자리에 역점을 두면서, 기업의 투자 촉진과 일자리 창출에는 소홀했다. 한-미 에프티에이를 제외하고는 구식 진보노선에 치우쳐 있었다. 옛 민주계가 열린우리당, 참여정부 실패론을 강조하는 등 너무 배타적이라는 지적도 있는데. =그건 잘못 생각한 거다. 옛 열린우리당 사람들도 저희랑 견해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그 분들도 경제 성장을 중시하고, 우리도 서민 복지에 굉장한 열의를 갖고 있다. 중도개혁주의, 중도진보주의라는 큰 틀 안에 다 들어 있다. 아직 화학적 결합이 이뤄지지 않아 계파를 나눠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전당대회에서 상향식으로 하자고 주장한 이유는? =‘열린 정당’이라고 표현하는 게 나을 것 같다. 지역위원장이 대의원을 결정하는 현재 구조에서는 결국 누가 지역위원장을 더 많이 확보하느냐는 싸움이 되고 만다. 민주주의 원칙에도 어긋나고 정당의 다이내믹한 변화도 불가능하다. 그래서 지역위원장은 당연직 대의원만 정하게 하고, 나머지 대의원은 신청자를 대상으로 추첨하자는 것이다. 그래야 당 대표에게도 힘이 생긴다. 글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사진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난 동의하지 않는다. 평등 우선 정책을 쓰겠다고 공언을 했고, 사회적 일자리에 역점을 두면서, 기업의 투자 촉진과 일자리 창출에는 소홀했다. 한-미 에프티에이를 제외하고는 구식 진보노선에 치우쳐 있었다. 옛 민주계가 열린우리당, 참여정부 실패론을 강조하는 등 너무 배타적이라는 지적도 있는데. =그건 잘못 생각한 거다. 옛 열린우리당 사람들도 저희랑 견해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그 분들도 경제 성장을 중시하고, 우리도 서민 복지에 굉장한 열의를 갖고 있다. 중도개혁주의, 중도진보주의라는 큰 틀 안에 다 들어 있다. 아직 화학적 결합이 이뤄지지 않아 계파를 나눠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전당대회에서 상향식으로 하자고 주장한 이유는? =‘열린 정당’이라고 표현하는 게 나을 것 같다. 지역위원장이 대의원을 결정하는 현재 구조에서는 결국 누가 지역위원장을 더 많이 확보하느냐는 싸움이 되고 만다. 민주주의 원칙에도 어긋나고 정당의 다이내믹한 변화도 불가능하다. 그래서 지역위원장은 당연직 대의원만 정하게 하고, 나머지 대의원은 신청자를 대상으로 추첨하자는 것이다. 그래야 당 대표에게도 힘이 생긴다. 글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사진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