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차 개성공단 남북 당국 실무회담 남측 수석대표인 김기웅(오른쪽)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과 북측 수석대표인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이 25일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회담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개성/사진공동취재단
북, 예고 없이 남쪽 프레스룸 들이닥쳐 남북 당국자간 몸싸움
“우리에게 얘긴 해야지!”(남쪽 관계자)
“자유라며!”(북쪽 관계자)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남북 6차 실무회담이 열린 25일 오후 5시23분께 남쪽 기자들의 프레스룸이 설치된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4층으로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을 포함한 북쪽 당국자 20여명이 들이닥쳤다. 다른 일행이 서류 봉투에 든 자료를 급하게 배포하는 사이 박 단장은 강경한 어조로 미리 준비한 회견문을 읽어 나가기 시작했다. 박 단장의 기자회견을 막는 과정에서 남북 당국자 간의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날 북쪽 당국자들이 배포한 것은 지난 3~4, 6차 회담 때 북쪽이 제시한 기조발언과 합의서 초안이었다. 북쪽의 3차 합의서 초안을 보면 “북과 남은 (중략) 그 어떤 경우에도 개성공업지구의 정상 운영에 저해를 주는 정치적, 군사적 행위를 일체 하지 않는다”고 적혀 있다. 이는 개성공단이 가동 중단 사태에 이르게 된 원인이 공단이 김정은 조선노동당 제1비서의 돈줄이라고 보도한 남쪽 언론의 비방과 한-미 연합 군사훈련 등에 의한 것이라는 북쪽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다.
북쪽의 이러한 입장은 4차 회담 초안까지 큰 틀에서 유지되지만 6차 회담 초안에선 “북과 남은 공단 중단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인식을 같이하면서 어떤 경우에도 정세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공업지구의 정상 운영을 보장한다”는 내용으로 후퇴한다. 그러나 통일부는 북쪽이 오후 들어 “남측이 공업지구를 겨냥한 불순한 정치적 언동과 군사적 위협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담보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수정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북쪽의 태도에 변화가 없다고 판단해 일단 협상을 중단하고 다음 일정을 잡으려 했지만 북한이 이를 거부했다는 것이다.
그밖의 쟁점에서 북쪽은 △공단의 안정적 운영과 기업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지구 안의 인원들에 대한 신변안전과 투자재산 보호 담보 △개성공단의 국제화 △통행·통신·통관 문제 등 이른바 ‘3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 등 우리 요구를 대부분 받아들인 모습이었다. 즉, 개성공단 사태를 파국으로 몰고 간 원인은 결국 이번 사태를 불러온 원인을 둘러싼 남북간의 근본적인 입장 차이였던 셈이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