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만/한겨레 21 박승화 기자
서동만 상지대 교수 주장
참여정부의 첫 국가정보원 기조실장이었던 서동만 상지대 교수가 2일 김만복씨의 국정원장 내정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서 교수는 <프레시안> 인터뷰에서 “노무현 정부가 임기 말 자기 지역 출신(부산) 인사를 국정원장에 앉히기로 작심함에 따라 ‘국정원의 정치화’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김 내정자를 포함해 애초 국정원장 물망에 올랐던 윤광웅 국방부 장관, 이종백 서울고검장 등이 모두 부산 출신이라는 점을 들어 “누가 돼도 특정 지역 사람이 국정원장이 되는 인사”라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국정원 내부에 이호철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상업 국정원 2차장-김만복 국정원 1차장으로 이어지는 부산 라인과, 김승규 원장의 호남 라인간 영·호남 인맥 대립이 악화돼 있다”며 “이런 상태에서 또다시 지역 인사가 이뤄져 국정원이 지역주의 구도에 휘말려들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김 내정자 개인에 대해서도 “국정원 기조실장 당시, 조직 개편을 잘못해 인사 적체를 극심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지역 갈등을 증폭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김 내정자가 1970년대 중앙정보부에서 서울대 운동권 출신들을 탄압하던 인물이라는 점까지 들었다.
서 교수는 “1978년 서울대 시위로 연행됐을 때 김 내정자가 취조실로 와 ‘다음 시위 주동자가 누구냐’고 회유한 적이 있다. 국정원이 과거사를 반성하고 진상을 규명하겠다고 하나, 김 내정자와 같은 인물이 파행 승진을 거듭하는 마당에 과연 개혁이 얼마나 가능할지 모르겠다. 양심에 따라 진정으로 참회하고 반성했다면 어떻게 원장까지 하려고 할 수 있는가”라고 말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