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데이터로 보는 기후재앙…글래스고의 시간이 왔다

등록 2021-11-01 05:00수정 2021-12-27 15:15

COP26 시작…1~2일 세계정상회의부터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1일 밤 9시(한국시각) 세계 정상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본격 시작된다. 의장국이 정한 주제는 ‘행동과 연대 중요한 10년’이다. 당장 2030년대 지구를 지금의 파국적 추세로부터 건져내야 그나마의 미래를 모색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의 다른 말, 세계가 2015년 파리협정(‘지구온도 상승폭 1.5도 제한’ 노력) 이후에도 반목과 책임 회피를 거듭한 데 대한 반성이기도 하다.

이해 없이 ‘행동’도 ‘연대’도 어렵다. <한겨레>는 기후변화 문제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거나 유용한 과학적 사실들로 그래픽 페이지를 연다. 새해엔 ‘기후변화’ 특화 누리집으로 확대한다. 지구가 아파온 경로, 인류가 아플 수밖에 없는 미래상 또는 대응을 세계 전문기관의 자료로 한목에 살필 수 있다. 이들 과제가 향후 2주 동안 정부간 협상 테이블에 오르고, 로비력을 갖춘 기업과 함께, 분노밖에 없는 시민들도 글래스고로 집결할 전망이다. 그 현장으로 <한겨레> 기후변화팀 기자들도 간다.

올 한해(10월28일까지) 기후변화, 기후위기, 기후재앙 세 키워드로 검색된 국내 10대 일간지의 보도만 1만1300여건(포털 네이버 기준)에 이른다. 하루 평균 38건이다. 북아메리카와 한국의 폭염, 서유럽과 일본의 홍수 등 지역과 시기를 가리지 않고 지구의 경고는 이어져 왔다.

올해의 이상기후 모두 지난 세기 진행된 기후변화 탓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는 온난화 현상(그래픽 ④)이 기후변화의 핵심이고, 인간이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주범이란 점이 과학계에서 더는 논쟁거리가 아니다. 태양복사 에너지가 다시 우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이산화탄소와 메탄 등의 온실가스는 수천년 지구 온도 등 기후시스템을 유지하는 기제였으나, 특히 19세기 들어 온실가스가 초과 발생하며 온난화를 가속하는 주범이 됐다. 극지역 빙하가 빠르게 녹고() 곰들은 민가를 찾는다.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연평균 농도는 산업화 시작 이전까지 280ppm대를 유지했으나 이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412ppm을 넘겼다(). 과거 80만년 동안 전례가 없는 고농도다. 여기엔 한국이 배출한 온실가스도 한몫했다.

한국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 이산화탄소상당량 2억9219만톤(CO₂eq)에서 2018년 7억2763만톤으로 정점을 찍었다. 2019년 배출량(잠정치)은 7억280만톤으로 정점에서 3.4% 감소했고, 2020년 잠정치는 6억4860만톤으로 전년보다 7.3% 줄었다. 1990년과 2018년 사이에도 전년 대비 배출량 감소가 이뤄진 해가 두 차례 있었다. 외환위기 여파로 경제가 역성장한 1998년, 정비 중이던 원자력발전소들이 가동에 들어가며 석탄발전소 가동이 크게 준 2014년이다.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량의 70% 이상은 화석에너지를 태울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에 기인한다. 따라서 온난화 대책은 근본적으로 결국 화석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것일 수밖에 없다. 세계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1990년 이후 증가 추세를 이어가 2018년 석유환산 99.3억톤(toe)에 도달했다. 에너지원별로 보면 화석에너지인 원유와 석유제품, 석탄, 천연가스로 직접 소비된 것이 66.5억톤으로 67%를 차지한다. 전기로 소비된 19.2억톤의 60% 이상, 열로 소비된 3억톤의 90% 가까이가 화석에너지로 만들어진 것을 고려하면 화석에너지 비중이 80%를 넘어선다.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선 각국 발전과 산업, 수송과 건물 부문 전반에서 화석연료 사용부터 통제되는,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순위는 경제규모와 비슷하다. 2018년 기준 한국은 세계 11번째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한 나라다. 한국이 선진국들보다 산업화가 늦어 누적 배출량이 적고 전세계 기후변화 책임도 덜하리란 생각은 틀린다. 한국은 1951~2018년 누적 배출량으로도 세계 17위에 해당한다. 코로나 팬데믹 2년 사이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은 더 높아졌고, 그에 응답할 ‘글래스고의 시간’이 온 셈이다.

김정수 최우리 김민제 기자 jsk21@hani.co.kr

기후변화 문제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거나 유용한 정보들로 구성된 인터랙티브 페이지를 <한겨레>가 엽니다. QR코드를 찍거나 안내문을 클릭하면 접속됩니다.
바로가기
www.hani.co.kr/interactive/global-warming/intro.html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속보] 법원,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검찰, 26일 내 기소할 듯 1.

[속보] 법원,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검찰, 26일 내 기소할 듯

[속보] 중앙지법,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수사 계속할 이유 없어” 2.

[속보] 중앙지법,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수사 계속할 이유 없어”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 3.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

검찰, 윤석열 구속연장 불허에 당혹…연장 재신청·기소 모두 검토 4.

검찰, 윤석열 구속연장 불허에 당혹…연장 재신청·기소 모두 검토

귀국한 전광훈 “체포하려면 한번 해봐라…특임전도사 잘 몰라” 5.

귀국한 전광훈 “체포하려면 한번 해봐라…특임전도사 잘 몰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