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랑의 진로 Q&A
이랑의 진로 Q&A /
Q: 대학입시를 준비하려면 대학과 학과에 대한 정보를 잘 알아야 할 것 같아요. 입시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A: 대학 홈페이지 가장 유용…
입시설명회 참여도 도움 대학 수학능력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고3 수험생뿐 아니라, 곧 입시를 치러야 하는 친구들 모두 대학이나 학과정보에 관심이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정보수집 전에 먼저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이나 전공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단계가 필요합니다. 아무런 대안도 없이 무작정 많은 대학, 많은 학과에 대해 알고 있다 해도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즉, 학과 선택을 위한 정보수집을 위해서는 미래 희망직업이 무엇인지, 이 직업을 갖기 위해 필요한 지식은 무엇인지,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학과는 무엇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대학 입시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먼저 인터넷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포털사이트를 비롯한 대학 홈페이지, 사설 입시사이트 등을 활용하면 입시용어, 수능점수 산출, 모의고사, 논술자료, 면접자료 등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대학 홈페이지에서는 학과별 수시 및 특별전형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고 있으므로, 특정 대학 특정 학과에 입학하려는 학생들은 희망 대학 홈페이지를 방문해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또 입시정보는 자주 바뀌므로 해마다 정확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개개인의 의견을 공유한 사이트보다는 대학교육협의회 대학진학정보센터(http://univ.kcue.or.kr)와 같은 공신력 있는 사이트를 활용하기 바랍니다. 대학진학정보센터에서는 2009학년도 수능 및 학생부 반영방법, 대학진학 진로 상담, 대학전형 계획 상담, 2008학년도 경쟁률 정보, 일반전형 입학정보, 특별전형 입학정보 등 대학진학에 대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입시설명회나 대학입학 정보 박람회 등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입시전형이 다양해지고 입시제도가 복잡해질수록 입시 부담은 커지고 있습니다. 정보의 필요성 역시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희망직업 대안 마련→직업에 따른 학과 선택→직업·학과·성적을 고려한 대학 선택’의 순서로 차근차근 정보를 찾아보면 자신에게 딱 맞는 입시전략을 세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랑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입시설명회 참여도 도움 대학 수학능력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고3 수험생뿐 아니라, 곧 입시를 치러야 하는 친구들 모두 대학이나 학과정보에 관심이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정보수집 전에 먼저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이나 전공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단계가 필요합니다. 아무런 대안도 없이 무작정 많은 대학, 많은 학과에 대해 알고 있다 해도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즉, 학과 선택을 위한 정보수집을 위해서는 미래 희망직업이 무엇인지, 이 직업을 갖기 위해 필요한 지식은 무엇인지,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학과는 무엇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대학 입시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먼저 인터넷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포털사이트를 비롯한 대학 홈페이지, 사설 입시사이트 등을 활용하면 입시용어, 수능점수 산출, 모의고사, 논술자료, 면접자료 등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대학 홈페이지에서는 학과별 수시 및 특별전형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고 있으므로, 특정 대학 특정 학과에 입학하려는 학생들은 희망 대학 홈페이지를 방문해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또 입시정보는 자주 바뀌므로 해마다 정확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개개인의 의견을 공유한 사이트보다는 대학교육협의회 대학진학정보센터(http://univ.kcue.or.kr)와 같은 공신력 있는 사이트를 활용하기 바랍니다. 대학진학정보센터에서는 2009학년도 수능 및 학생부 반영방법, 대학진학 진로 상담, 대학전형 계획 상담, 2008학년도 경쟁률 정보, 일반전형 입학정보, 특별전형 입학정보 등 대학진학에 대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입시설명회나 대학입학 정보 박람회 등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입시전형이 다양해지고 입시제도가 복잡해질수록 입시 부담은 커지고 있습니다. 정보의 필요성 역시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희망직업 대안 마련→직업에 따른 학과 선택→직업·학과·성적을 고려한 대학 선택’의 순서로 차근차근 정보를 찾아보면 자신에게 딱 맞는 입시전략을 세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랑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