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했던 서울동부구치소에서 1년 만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초비상근무에 들어갔다.
10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동부구치소 수용자 1명이 전날 받은 코로나19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애초 10일 예정됐던 전수검사를 하루 앞당겨 시행한 데 따른 결과다. 지난 8일엔
수용자 3명과 직원 1명이 확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동부구치소에서 서울구치소로 이송된 수용자가 확진 판정을 받아 동부구치소 수용자와 직원들에 대한 전수조사가 이뤄진 바 있다. 이로써 동부구치소 내 확진자 수는 10일 오후 2시 현재 5명이 됐다.
법무부는 긴장하는 모습이다. 법무부는 8일 확진자가 발생한 뒤 기본방역수칙 준수상태를 점검하고 확진자에 대한 형집행정지를 건의했다. 그날 저녁엔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방역실태 점검을 위해 동부구치소를 긴급 방문하기도 했다. 박 장관은 당시 확진자 격리 장소로 쓰이는 ‘가족만남의 집’으로 이동해 격리 수용된 확진자 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확진자 발생 현황 등을 보고 받았다. 박 장관은 “지난해 말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있었던 서울동부구치소에 확진자가 발생해 긴급히 현장을 방문했다. 철저한 방역 관리체계를 유지하는 데 최선을 다해달라”고 했다.
지난해 12월29일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수용자들이 확진자 과밀 수용과 서신 발송 금지 등 불만 사항을 적어 창밖으로 취재진에게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서울동부구치소에선 누적 확진자가 1천명 넘게 나오는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했다. 당시 방역의 기본인 마스크 지급이 확진자 발생 뒤에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지나치게 수용자 수가 많은 탓에 밀집도가 높아 집단감염을 불렀다는 지적이 컸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했던 지난해 12월13일 기준 동부구치소 수용자는 정원 2070명에 견줘 342명이 많은 2412명이었다. 동부구치소 관계자는 “현재 수용인원은 2100명이 안 된다. 수용정원과 비슷한 상태”라고 말했다.
지난 1월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이 동부구치소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와 관련해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 등을 직무유기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지난달 “동부구치소 실무자들의 일부 미흡한 조치(△일정기간 동안 내부 기준에 따른 마스크 미지급 △고열증상자 진단검사 지연)가 확인됐다”면서도 “직권남용이나 직무유기의 고의가 있다거나, 전반적인 부실 대응의 과실이 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며 추 전 장관 등을
무혐의 처분한 바 있다.
법무부 관계자는 “작년과 같은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역 관리체계를 철저히 유지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전수조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광준 기자
light@hani.co.kr
▶관련기사 :
‘동부구치소 코로나 집단감염’ 관련 추미애 전 장관 등 ‘무혐의’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20950.html
▶관련기사 :
바이러스는 구속도 못하고…법원·구치소 등 확진자 속출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2262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