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주한러시아대사관 인근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1주년을 맞이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평화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의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을 맞아 시민사회단체들이 전쟁 휴전과 평화협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국제민주연대 등 47개 시민사회단체는 24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주한 러시아대사관 인근 정동제일교회 앞에서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침공 1주년을 맞이한 오늘 러시아의 불법적인 침략 행위에 항의한다. 러시아는 즉각 군사 행위를 멈추고 우크라이나에서 철수하라”고 밝혔다.
이 단체들은 “지난 1년은 우크라이나 민중에게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의 한 해였다”며 “절대 정당화할 수 없는 이 침공으로 인해 이미 450명 이상의 어린이를 포함해 수만 명의 우크라이나인이 사망했고, 러시아군의 폭격과 공습으로 우크라이나 곳곳이 폐허로 변했다. 살아남은 이들도 대대적인 기간시설 파괴로 인해 전기와 물, 온기 없이 겨울을 나고 있으며, 매일 다양한 폭력에 직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체들은 “러시아 침공에 대항하고 우크라이나 민중과 연대하는 세계 각국 시민과 함께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재한 우크라이나 시민 안드레이 리트비노프씨는 “대한민국과 유엔 143개 국가는 러시아 만행을 공식적으로 비판하고 이번 전쟁과 그 피해의 책임이 러시아에 있다고 선언했다”며 “그런데도 러시아는 유엔의 말, 국제법, 전쟁법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3일 유엔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1년을 맞아 열린 긴급 특별총회에서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서 즉각 물러날 것을 요구하는 ‘우크라이나의 평화와 원칙에 관한 결의안’을 압도적인 찬성으로 채택했다.
참여연대 등 56개 단체 회원들이 지난 23일 오전 서울 청계광장 소라탑 앞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 규탄·휴전 촉구’ 기자회견을 열어 휴전과 평화협상을 촉구하고, 한국 정부에 러시아 난민 보호를 요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한편, 전날 참여연대 등 56개 시민사회단체도 서울 종로구 청계광장 소라탑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전쟁으로 고통받는 우크라이나·러시아 난민을 전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전쟁 무기지원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전쟁에 반대해 징집을 거부한 러시아 난민 신청자들을 대리하는 이종찬 변호사(공익법센터 어필)는 “이들은 지난 5개월간 공항에 갇힌 채 난민심사의 기회가 주어지기만 기다리고 있다. 수개월의 소송 끝에 우선 두 명의 신청자에 대해 난민심사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있었음에도, 정부는 항소 여부를 의사 결정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일주일 넘게 입국허가를 내주지 않았다”며 “정부는 이 전쟁에 대한 태도를 명확히 해 전쟁으로 고통받는 우크라이나 난민을 전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전쟁에 반대하는 러시아인들에게도 난민 자격을 부여해야 한다”고 했다.
쥬 전쟁없는세상 활동가도 “정부는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폴란드, 미국 등 무기지원국에 대해서도 무기 이전을 중단해야 한다”며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직간접적 무기지원 같은 군사적 수단 대신 외교라는 평화적 수단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지영 기자
jy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