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농민회와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농민단체들로 이뤄진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 길’ 회원들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는 농업포기 선언과 다름없다며 윤석열 정권에 대한 농민들의 거부권 행사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농민단체들이 정부가 초과 생산된 쌀을 의무 매입하도록 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거부한 윤석열 정부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가톨릭농민회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쌀생산자협회 등 농민단체 회원들로 구성된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 길’은 12일 낮 서울 대통령의 집무실 앞에서 ‘윤석열 정부에 대한 농민들의 거부권을 행사 선포 기자회견’을 열었다.
농민단체 회원들은 “당초 생산비가 보장되는 양곡관리법의 전면개정이라는 농민들의 요구가 완전히 사라진 채 정쟁의 도구로 전락해버린 이번 양곡관리법 개정안조차도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완전히 무산됐다”며 윤석열 정부에 항의했다. 또 참가자들은 “윤석열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하며 농민들을 위해 다른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지만, 늘 나오는 형식적인 이야기뿐이라고 하면서 심지어 여당 최고위원의 ‘밥 한 공기 다 먹기’ 운동 등은 허무맹랑한 이야기라며 결국 이 정부는 현행 농민말살 정책을 계속해서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참가 단체들은 “이제 농민들은 더는 윤석열 정권을 우리의 정부로 인정할 수 없다. 윤석열 대통령 또한 우리의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 윤석열 정권이 대통령 거부권으로 농업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거부했듯, 우리도 농민들의 거부권으로 윤석열 정권을 거부할 것이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장에 참가한 한 농민은 “예전엔 풍년이 들면 전 국민이 농민들에게 감사하며 일년을 보냈는데 지금은 대풍년이 들면 농민들은 무슨 죄인처럼 얼굴을 들고 다니지 못한다”면서 “이 땅의 농업이 유지되고 농민들의 생존권 보호를 위해 양곡관리법의 전면개정”을 요구했다.
가톨릭농민회와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농민단체들로 이뤄진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 길’ 회원들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는 농업포기 선언과 다름없다며 윤석열 정권에 대한 농민들의 거부권 행사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가톨릭농민회와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농민단체들로 이뤄진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 길’ 회원들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는 농업포기 선언과 다름없다며 윤석열 정권에 대한 농민들의 거부권 행사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