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투표 기준
한겨레 4.9총선 여론조사
“안정 우선” 48.5% - “견제 중시” 43.4% ‘팽팽’
‘정부·여권 견제론’ 높지만 현실화될지는 불투명 오는 4월9일 치러지는 18대 총선 투표를 기준으로 ‘안정을 우선해야 한다’는 의견과 ‘견제를 중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오차범위에서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당 지지도에선 ‘한나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대통합민주신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을 큰 격차로 앞섰다. <한겨레>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플러스’가 지난 2일 벌인 조사에서, 18대 총선과 관련해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해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48.5%, “대통령과 여당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43.4%였다. 한나라당이 내세우는 ‘안정론’이 약간 우세하지만 통합신당 등 야당이 주장하는 ‘견제론’에 공감하는 의견도 만만찮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 ‘어느 정당 후보를 지지하겠냐’는 물음에 한나라당 49.8%, 통합신당 10.7%로 나타나, 한나라당이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이어 민주노동당 4.6%, 창조한국당 2.6%, 자유선진당 2.4%, 민주당 1.9% 순이었다. 유권자들 사이에 ‘정부·여당 견제론’ 기류가 상당하긴 하지만, 기존 정당에 대한 실망감으로 이런 기류가 현실화할 수 있을지는 매우 불투명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권자들 사이에선 또 현역 의원들을 바꿔야 한다는 ‘물갈이’ 요구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사는 지역구의 현역 국회의원을 교체해야 한다’는 응답이 40.6%, 계속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30.3%로 조사돼, ‘물갈이’ 여론이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현역 의원에 대한 전반적인 지지도는 대통합민주신당(27%)보다 한나라당(38.8%)이 높게 나타났다. 대통령직 인수위가 내놓은 ‘정부조직 개편안’과 ‘대입 3단계 자율화 방안’에 대해선, ‘찬성’이 각각 59.5%(반대 32.1%)와 60.8%(반대 26.8%)로 찬성 의견이 높았다. 그러나 ‘한반도 대운하’ 문제에선 ‘반대’가 51.6%로, ‘찬성’(35.3%) 의견보다 많았다. ‘영어 공교육 확대 방안’에 대해서는 ‘찬성’이 51.2%로, ‘반대’(44.9%) 의견보다 약간 높았다. 그러나 영어 공교육 확대에 따른 사교육비 부담에 대해선 ‘지금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는 이들이 64.2%로, ‘지금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응답자(14.2%)의 네 배를 넘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살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응답률은 14.3%였다. 오차한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임석규 이화주 기자 sky@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한나라 49.8% 압도적 지지…통합신당 10.7%
▶ 호남 한나라당 지지율, 민주당보다 더 높아
▶ ‘신당 호남 대폭 물갈이’ 호남서도 절반이상 찬성
▶ 국민 절반 “대운하 반대” “영어강화 찬성”
▶ 4·9 총선을 향해 뛰는 사람들 /
“안정 우선” 48.5% - “견제 중시” 43.4% ‘팽팽’
‘정부·여권 견제론’ 높지만 현실화될지는 불투명 오는 4월9일 치러지는 18대 총선 투표를 기준으로 ‘안정을 우선해야 한다’는 의견과 ‘견제를 중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오차범위에서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당 지지도에선 ‘한나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대통합민주신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을 큰 격차로 앞섰다. <한겨레>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플러스’가 지난 2일 벌인 조사에서, 18대 총선과 관련해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해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48.5%, “대통령과 여당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43.4%였다. 한나라당이 내세우는 ‘안정론’이 약간 우세하지만 통합신당 등 야당이 주장하는 ‘견제론’에 공감하는 의견도 만만찮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 ‘어느 정당 후보를 지지하겠냐’는 물음에 한나라당 49.8%, 통합신당 10.7%로 나타나, 한나라당이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이어 민주노동당 4.6%, 창조한국당 2.6%, 자유선진당 2.4%, 민주당 1.9% 순이었다. 유권자들 사이에 ‘정부·여당 견제론’ 기류가 상당하긴 하지만, 기존 정당에 대한 실망감으로 이런 기류가 현실화할 수 있을지는 매우 불투명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권자들 사이에선 또 현역 의원들을 바꿔야 한다는 ‘물갈이’ 요구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사는 지역구의 현역 국회의원을 교체해야 한다’는 응답이 40.6%, 계속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30.3%로 조사돼, ‘물갈이’ 여론이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현역 의원에 대한 전반적인 지지도는 대통합민주신당(27%)보다 한나라당(38.8%)이 높게 나타났다. 대통령직 인수위가 내놓은 ‘정부조직 개편안’과 ‘대입 3단계 자율화 방안’에 대해선, ‘찬성’이 각각 59.5%(반대 32.1%)와 60.8%(반대 26.8%)로 찬성 의견이 높았다. 그러나 ‘한반도 대운하’ 문제에선 ‘반대’가 51.6%로, ‘찬성’(35.3%) 의견보다 많았다. ‘영어 공교육 확대 방안’에 대해서는 ‘찬성’이 51.2%로, ‘반대’(44.9%) 의견보다 약간 높았다. 그러나 영어 공교육 확대에 따른 사교육비 부담에 대해선 ‘지금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는 이들이 64.2%로, ‘지금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응답자(14.2%)의 네 배를 넘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살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응답률은 14.3%였다. 오차한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임석규 이화주 기자 sky@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한나라 49.8% 압도적 지지…통합신당 10.7%
▶ 호남 한나라당 지지율, 민주당보다 더 높아
▶ ‘신당 호남 대폭 물갈이’ 호남서도 절반이상 찬성
▶ 국민 절반 “대운하 반대” “영어강화 찬성”
▶ 4·9 총선을 향해 뛰는 사람들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